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세계인도주의 지원 개요 2019’ 갈무리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내년 대북 인도적 지원에 약 1억1100만달러(약 1234억원)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은 지난 4일(현지시각) 펴낸 ‘세계인도주의 지원 개요 2019’(Global Humanitarian Overview 2019)에서 올해와 비슷한 규모인 600만명의 북한 주민을 인도주의 지원 대상으로 꼽았다.
이 기구는 보고서에서 “북한에 대한 유엔과 양자(각국의 대북 독자제재) 제재가 2019년에 완화될 가능성이 높지 않다”면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인도주의 활동은 분명히 면제하고 있지만, (제재로) 은행망(banking channel)이 막히고, 공급망이 붕괴, 생필품 운송이 지연되면서 의도하지 않게 인도주의 지원사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2004년 3억달러에 달했던 대북 인도지원 자금이 올해 11월 현재 2620만달러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북한과 관련된 계약을 하려는 공급자들이 줄고 있고 운송과 보관 비용을 비롯해 북한 내 기름값 상승에 따른 어려움도 적시됐다.
이 기구는 ‘인도주의 북한팀’(DPRK Humanitarian Country Team)이 올해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실제 인도주의적 지원을 받은 사람의 규모를 분석한 결과 두 수치 모두 호전됐으나, 이는 북한의 상황이 개선됐기 때문이 아니라 가장 취약한 계층을 가려내 지원을 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북한에서 가장 취약한 계층은 5살 이하 어린이와 임산부, 장애인, 지방 거주자 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올해 1030만명의 북한 주민이 인도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또 지난해 복수지표집단조사((MICS)에서 영양실조에 걸린 북한주민의 비율이 개선됐으나 지역 간 격차가 크다고 짚었다. 북한의 물·위생·청결(water, hygiene and sanitation) 기준은 악화돼, 북한 가정의 3분의 1 이상이 깨끗한 물을 공급받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북한을 강타한 혹서와 홍수로 올해 북한의 식량 부족분(food gap)은 2017년에 비해 11%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