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외무성 이시카네 기미히로 아시아대양주국장이 11일 오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로 들어서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위안부 10차 국장급 협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는 1965년 한-일 국교정상화 시에 합의에 포함이 안 됐다는 입장을 바탕으로 오늘 국장급 협의를 진행할 것이다.” “(2일 한-일)정상회담이 끝나고 나서 (일본 쪽이) 내용을 왜곡하면서까지 언론에 공개가 되는 것은 외교의 정도를 벗어나는 행동이다.”
임성남 외교부 1차관이 11일 아침 7시30분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와 한 말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2일 정상회담 뒤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다룰 첫 당국 협의인 제10차 국장급 협의가 서울에서 열리기 2시간 남짓 전이다. 이번 협의에서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을 제기하고, 정상회담 뒤 일본 정부의 ‘언론 플레이’에 강력한 유감을 표명하겠다고 공언한 셈이다.
한 외교부 당국자
“일 정상회담 내용 흘리는 자가당착”
비외교적 발언수위 불사 일 스가 관방장관
“독도·수산물도 논의 있었다”
소녀상도 “불편하다” 철회 요구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국장과 이시카네 기미히로 아시아대양주국장의 협의는 2시간 남짓 진행됐고, 정상회담 때와 달리 불고기를 메뉴로 한 오찬 협의로 이어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정상회담 합의에 따라 위안부 문제의 조속한 해결를 위한 심도 있고 유익한 협의를 가졌다”며 “이견이 있는 부분은 접점 모색을 위한 협의를 계속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옆에서 보면 전혀 안 움직이는 것 같겠지만, 조금씩 조금씩 목표를 향해 움직이고 있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견을 좁히려는 실무적 협의가 진행됐음을 내비친 셈이다. 다만, 이 당국자는 차기 협의를 “가급적 빠른 시기에 개최키로 했다”면서도, 그 시기가 연내인지는 확인하지 않았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이 당국자는 기자들이 묻지도 않았는데 “협의에서 일본 쪽에서 정상회담과 관련해 부정확하고 왜곡된 보도가 연이어 나오는 데 대해 강한 유감을 전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일본은 2일 두 정상의 단독회담 내용을 밖에 알리지 말자고 한 내용까지 밖에 흘리는 자가당착, 모순된 행태를 보였다”며 “정상 간 논의 내용을 사실과 거리가 멀게 왜곡해서 언론에 흘리는 행태는 국제사회에 일본 외교 행태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일본 쪽 행태가 ‘외교의 정도를 벗어났다’고 지적하는 발언의 수위가 매우 비외교적이다. 이 당국자는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이 남아 있다는 게 우리 정부의 일관된 입장임을 대통령이 분명히 말씀하신 바 있다”고 뒤늦게 전했다. 정상회담 직후 어떤 배경설명도 사양하며 몸을 사리던 외교부의 달라진 모습인데, 일본 쪽보다는 국내 ‘청취자’를 염두에 둔 발언으로 들린다.
일본 쪽도 만만치 않았던 듯하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도쿄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독도 관련 문제와 <산케이신문> 칼럼 사건,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 강제징용 배상 관련 재판 등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고 밝혔다. 일본 쪽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에 대해서도 ‘대사관 앞에 있어서 불편하다’는 간접 어법으로 철거를 거듭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 양국 정부 모두 국내 여론에 더 신경쓰는 듯한 이런 분위기에 비춰볼 때,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한 협의의 앞길이 순탄치 않으리라 예상된다.
김외현 이제훈 기자 oscar@hani.co.kr
“일 정상회담 내용 흘리는 자가당착”
비외교적 발언수위 불사 일 스가 관방장관
“독도·수산물도 논의 있었다”
소녀상도 “불편하다” 철회 요구
11일 낮 서울 종로구 중학동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204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 참석한 이들이 들고 있는 손팻말 뒤로 털모자를 쓴 소녀상이 서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