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이정용 선임기자 lee312@hani.co.kr
정부가 한-미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을 하고 한-미-일 외교장관회의를 추진하는 등 한-중 정상회담 후속조처에 착수한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3일 기자들과 만나 한-중 정상회담 후속조처로 “이후 북핵 문제와 관련된 여러 현안을 협의하는 다양한 형태의 양자·3자 협의가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북핵 6자회담 우리 쪽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다음주께 미국을 방문해 미국 수석대표인 성 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음주에는 중국 쪽 6자회담 차석대표인 샤오첸 외교부 한반도사무 부대표가 한국을 방문해, 우리 쪽 차석대표인 김건 북핵외교기획단장과 권용우 평화외교기획단장 등을 만난다.
이달 말로 예정된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미-일 외교장관회의 및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도 각각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국자는 이번 한-중 정상회담에서 북핵과 관련해 “중국의 역할에 대해 상호간에 공감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별도로 일본 정부는 한-중 정상이 2일 합의한 10월 말~11월 초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일정에 대해 수용 입장을 밝혔다. 3국 정상회의에 맞춰 한-일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3일 오전 정례 기자회견에서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 소식에 대해 “일본은 일-중-한 정상회의와 관련해 종래부터 조기 개최를 해야 한다고 말해왔다. 구체적인 시기와 장소는 상세히 조정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리는 시기에 한-일 정상회담도 추진하겠냐는 질문에 “저쪽(한국)에서 요청이 있다면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이 적극적으로 나서 한국에 정상회담을 열자고 요청하진 않겠다는 뉘앙스다.
김외현 기자, 도쿄/길윤형 특파원
osca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