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20여일 전 발표해온 전례에 비춰 이례적
‘중국 열병식’ 참석 위한 사전 포석’ 분석 나와
정부는 “한-미 동맹 부각시키는 효과” 강조
‘중국 열병식’ 참석 위한 사전 포석’ 분석 나와
정부는 “한-미 동맹 부각시키는 효과” 강조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10월16일 미국을 방문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한다고 청와대가 14일 발표했다.
청와대는 자료를 내어 “이번 회담에서는 한-미 동맹 발전, 북핵 문제 등 대북공조, 동북아 평화·안정·번영을 위한 협력,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실질협력 증진 등 다양한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애초 6월 미국을 방문할 계획이었으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이유로 연기한 바 있다.
대통령의 방미 일정을 두 달이나 일찍 발표한 것은 통상 20여 일을 앞두고 발표되는 전례에 비춰 이례적이다. 박 대통령이 다음달 3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반파시즘 전쟁 승리 70돌 기념 열병식’ 참석을 위한 포석 깔기 아니냐는 풀이가 나온다. 열병식 참석을 공식 발표하기에 앞서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먼저 발표해 미-중간 균형을 맞추는 모양새를 갖춘 것이라는 분석이다. 정부 안팎에선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하면서 열병식 참석을 마뜩잖게 바라보는 미국을 상대로 설득 작업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정부도 다른 외교 사안에 앞서 한-미 동맹을 부각시킬 수 있게 됐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꼭 중국의 전승절 행사 참석 등 특정 행사와 연관지어 해석할 일은 아니다”면서도 “중국 열병식을 포함해서 하반기에 예정된 외교 일정이 많은데, 그 첫단추를 한-미 정상회담 발표로 시작한다는 게 의미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방미 기간 중 오바마 대통령과 최근 북한의 지뢰 도발 등 한반도 안보정세과 한-미동맹 강화 방안 등을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 당국자는 “한-미 관계가 글로벌 차원으로 발전한 만큼 한반도 관련 사안뿐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도 의제가 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의제나 일정 등은 한-미간 협의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당국자는 “북한이 한-미 정상회담 직전인 10월10일 노동당 창건 70돌을 맞아 4차 핵실험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시험 등 도발을 한다면 한-미 정상이 강력한 대북 경고 메시지를 내기 위한 방안 등도 검토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