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연변대 국제학술회의서
북도 참석 “성노예” 비판
북도 참석 “성노예” 비판
남북한과 중국 전문가들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국제학술회의에서 일본의 책임 인정과 사죄를 한목소리로 요구했다. 특히 남북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공조 가능성을 내비친 것이어서 관심을 모은다.
동북아역사재단은 1일 자료를 내어, 5월30일 중국 연변대에서 이 대학 조선한국연구센터와 중국사회과학원 중일역사연구센터가 공동주최한 국제학술회의에 남북한 및 중국 연구자들이 참석했다고 밝혔다. 남쪽에서는 윤명숙 충남대 국가전략연구소 전임연구원 등 3명, 북쪽에서는 김철남 조선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장 등 3명, 중국 쪽은 쑤즈량 상하이사범대 인문학원장 등 5명이 참석했다.
남쪽 윤명숙 연구원은 “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의 국가책임을 한층 폭넓게 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쑤즈량 원장은 일본에서 출판된 자료집과 각종 역사적 문헌, 그리고 지린(길림)성 기록보관소에서 발견된 일본군 관련 문서와 피해자의 구술 자료 등을 들며 “전쟁 당시 일본군 성노예 제도에 관한 증거자료는 부지기수”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난해 불거진 <아사히신문> 오보 인정 사건을 계기로 ‘자료가 없다’며 군 위안부 피해 사실 자체를 부인하는 일본 내 기류에 대해 “허무맹랑한 궤변”이라고 비판했다.
북쪽도 ‘성노예’라는 표현을 쓰며 강도 높은 비난을 내놨다. 김철남 소장은 “과거 성노예 범죄를 부인하고 은폐하는 일본의 이면에는 국가적인 책임과 의무, 배상을 은폐하고, 과거를 되살려 군국주의 재침 야망을 실현하려는 기도가 깔려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중요하며, 일본에 대한 국제적 압력의 강도를 높여야 할 것”이라며 국제적 공조 필요성을 제기했다.
주최 쪽은 “앞으로 여건이 조성된다면 북한에서 관련 회의를 개최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쪽은 2007년 서울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 대표단을 보내 공동성명에 동참했지만, 지난 21일 서울에서 열린 회의에는 ‘6·15 공동행사 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불참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