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관인력 추가 철수 여부 등 논의
극단주의 이슬람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 소속이라고 밝힌 괴한들이 12일 리비아 수도 트리폴리에서 한국대사관을 공격한 사건에 대해, 정부는 13일 규탄 성명을 내고 본격적인 대응책 마련에 착수했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사건 발생 뒤 처음 발표한 논평을 통해 “주리비아 우리 대사관 경비초소에 대한 무장공격을 강력히 규탄하며 희생자들의 유가족들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외교공관에 대한 불가침성 원칙이 존중돼야 하며, 외교공관에 대한 공격이나 폭력은 어떠한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확고한 입장을 재천명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또 이날 오후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고 공관 잔류 인원의 추가 철수 여부 등을 논의했다. 리비아 주재 한국대사관은 지난해 7월 공관원 3명을 튀니지로 임시 철수시켜 리비아에 있는 공관원 2명과 2주 간격으로 교대 근무를 해왔다. 정부 당국자는 “철수 또는 재배치 여부는 대사관의 안전과 교민 안전, 국민 여론 등을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리비아 현지에는 공관원 2명을 포함해 한국인 35명이 잔류하고 있다.
미국, 영국, 서방뿐 아니라 대다수 나라들이 지난해 정정 불안 속에서 대부분 철수한 가운데, 리비아 현지에 공관이 아직 남아 있는 나라는 18개국뿐이다. 아프리카 10개국과 터키,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유럽·아시아의 이슬람권에 더해, 한국, 북한, 인도, 필리핀, 우크라이나가 남아 있다.
사건 발생 직후 이슬람국가 트리폴리 지부가 공격 사실을 인정했지만, 사건의 구체적인 진상이나 배경도 아직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다. 정부 당국자는 “리비아도 자국민이 숨진 사건이라 조사를 하긴 하겠지만, 내전 중인 상황이라 조사가 신속하게 제대로 이뤄지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나온 외교부 성명도 ‘외교공관에 대한 공격’을 규탄했을 뿐, 공격 주체나 배경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리비아 현지에서는 대사관이 아닌 경비원이 목표였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12일 이번 사건과 관련해 외교 공관에 대한 불가침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리비아 내 폭력 종식을 촉구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미국 국무부도 성명을 내어, “민간인과 여러 중요 시설을 겨냥한 점증하는 작금의 폭력 사태가 리비아 내 갈등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