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센카쿠 국유화로 멈춰
3국 새정권 출범뒤 처음
정상회담 여부도 거론 될듯
3국 새정권 출범뒤 처음
정상회담 여부도 거론 될듯
영토 및 과거사 문제로 지난 3년 동안 열리지 않았던 한중일 외무장관 회의가 21일 서울에서 개최된다. 외교부는 17일 자료를 내어 개최 사실을 발표하고,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의장을 맡는 가운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대신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참석한다고 밝혔다. 2012년 하반기 세 나라에서 각각 집권한 박근혜-시진핑-아베 신조 정권이 처음 여는 이번 외무장관 회의에서는, 3국 협력 현황 평가 및 발전방향, 주요 지역 및 국제 정세 등에 대한 폭넓은 의견 교환이 이뤄질 전망이다.
한중일 정상 간 만남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으나 성과는 불투명하다. 일본은 정상회의 개최에 적극적이지만, 한국과 중국은 일단 유보적인 모습이다. 외교부는 같은날 대변인 정례 브리핑에서 “3국 정상회담은 3국 외무장관 회담의 결과, 그런 것들을 봐가면서 추진되어야 될 사안”이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오는 8월 아베 총리가 내놓게 될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의 내용을 본 뒤 정상회담에 대한 입장을 정할 방침이라고 <교도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한국-일본-중국 순으로 개최하는 3국 정상회담 및 외무장관 회의는 지난 2007년 제주도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담을 시작으로 매년 열렸으나, 6차 외무장관 회의(중국 닝보)와 5차 정상회의(중국 베이징)가 열린 지난 2012년 이후 중단된 상태다. 그해 9월 일본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하면서 중-일 외교갈등이 격렬해졌고, 이후 일본에 들어선 아베 정권의 과거사 관련 태도는 한-중 두 나라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아왔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