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당국자 밝혀
“중국과 외교장관 회담중 얘기”
현실성 있을지는 의문
“중국과 외교장관 회담중 얘기”
현실성 있을지는 의문
정부가 한반도 주변국과의 작은 다자 협력틀을 활성화한다는 차원에서 이달 초 중국 쪽에 ‘남·북·중 협력틀’을 제안한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지난 21일 기자들과 만나 ‘소다자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한 뒤 “지난 7일 중국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하는 과정에서 중국 쪽과 남·북·중 (협력)도 해보자는 얘기를 해봤다”며 “조기에 하긴 어렵겠지만, 남·북·중도 하게 되면 여러가지 좋은 사업들이 검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통적인 ‘한·미·일’ 구도의 안보 공조와 박근혜 정부가 대북 압박을 위한 필요성 때문에 강조해온 ‘한·미·중’ 채널, 또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제안한 ‘한·중·일’ 틀에 이어 새로운 3자 협력 구상을 밝힌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한·미·일이나 한·중·일 회의틀은 한-일, 중-일 간 과거사 및 영토 갈등으로 삐걱거리고, 한·미·중은 공식적인 협의체도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새로운 3자 구상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을지는 의문시된다. 특히, 남북 간에는 대북 전단(삐라) 살포를 둘러싼 갈등 끝에 2차 고위급 접촉마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 8월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논의된 일본 <산케이신문>의 박근혜 대통령 관련 칼럼 사건은 한국 쪽이 먼저 이 문제를 꺼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당국자는 “당시 기시다 일본 외무상이 양국관계에 혐한 발언 등은 자제돼야 한다는 말을 했다”며 “이에 대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그런(산케이신문 칼럼 같은) 케이스가 바로 당신이 얘기한 양국관계에서 국민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으니까 잘 지켜보라’는 식의 이야기를 했다”고 말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