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디카 쿠마라스와미 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인권위원회 여성폭력문제 특별보고관
“1995년엔 유감서한도 보내고
교과서 개정 약속·기금 조성”
교과서 개정 약속·기금 조성”
1996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룬 첫 유엔 보고서를 작성했던 라디카 쿠마라스와미(사진) 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인권위원회 여성폭력문제 특별보고관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해 “(일본 정부가) 95년 이전의 강경한 자세로 퇴보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쿠마라스와미 전 보고관은 지난 9일(현지시각) 스리랑카 수도 콜롬보의 자택에서 한 외교부 공동취재단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특별보고관으로 활동하던 95년에는 일본 정부가 유감의 뜻을 담은 서한도 보내고 교과서를 개정하겠다는 약속도 하고, 아시아여성기금을 만드는 등 충분하지는 않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며 이렇게 말했다.
쿠마라스와미는 한국·북한·일본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전쟁 중 군대성노예제 문제에 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한국 및 일본 조사 보고’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작성해 96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에 제출했다. 유엔 차원에서 사실상 처음으로 군 위안부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룬 그의 보고서는 일본군 위안부 제도를 ‘성노예제’로 규정하고 일본 정부에 법적 책임 인정과 배상을 촉구했다.
그는 보고서에서 군 위안부를 전시 성노예로 명명한 이유에 대해 “피해자들에게 전해 들은 상황이 명백히 노예의 상황이었기 때문”이라며 “이 여성들이 자신의 의지에 반해 누군가에 의해 통제당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정부가 최근 고노 담화 검증 보고서에 ‘강제연행은 확인할 수 없다’는 내용을 담은 데 대해서는 “위안부 피해자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역사적인 자료들도 많이 확인하고, 일본 여성시민단체를 통해 들은 정보도 있다”며 “이 모든 정보를 바탕으로 봤을 때 명백히 대부분 강제성이 있었다”고 반박했다.
그는 또 군 위안부가 ‘전시 매춘부’라는 일본 우익들의 주장과 일본 내 최근 혐한시위 흐름에 대해 그는 “모든 나라에는 다른 인종 집단이나 다른 나라, 여성을 적대시하는 움직임이 있을 수 있으나 국가는 이것들이 혐한 발언이나 시위로 확산되지 않도록 자제시킬 의무가 있다”며 일본 정부의 책임을 강조했다.
스리랑카 법률가 출신의 쿠마라스와미 전 보고관은 94년 유엔 경제사회이사회 산하 인권위원회의 여성폭력 문제 특별보고관으로 임명돼 2003년까지 활동했다. 이후 2006년부터 아동과 무력분쟁에 관한 유엔 사무총장 특별대표로 재임하다 은퇴했다.
콜롬보/외교부 공동취재단,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