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치피해자 문제 의견 나눠
북-일 외무상이 지난 10일 미얀마 네피도에서 열린 아세안지역포럼(ARF)에서 10년 만에 별도 회동을 했다. 최근 납치 피해자 문제를 둘러싼 북-일 간 협상 진전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남북 외교장관은 의미있는 접촉을 갖지 못하고 ‘조우’하는 데 그쳤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은 10일 오후 리수용 북한 외무상과 회동 뒤 “(일본인 납치자 문제 조사를 위해 북한 당국이 7월 초 출범시킨) 특별조사위원회의 조사와 핵·미사일 개발 등의 안보 문제와 관련해 일본의 생각을 전달했다”며 “리 외무상은 자신의 입장에 대해 이야기가 있었다”고 전했다. 북한과 일본의 외교장관 회동은 2004년 7월 이후 처음이다.
그러나 <요미우리신문> 등은 이날 회동을 ‘회담’이 아닌 ‘접촉’이라고 표현하는 등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두 나라의 지나친 접근에 불편한 시선을 보내고 있는 미국과 한국 등 주변국을 의식한 행동으로 보인다. 북-일 양국이 아세안지역포럼에서 공식적인 외교장관 회담을 열 경우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방북이 임박했다는 인상을 주변국들한테 줄 수 있다.
네피도(미얀마)/김외현 기자, 도쿄/길윤형 특파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