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찬룽 중 런민대 부원장
진찬룽 중 런민대 부원장 인터뷰
“시 주석, 한·미와의 관계 중시
김정은 회동 가능성 당분간 없다”
“시 주석, 한·미와의 관계 중시
김정은 회동 가능성 당분간 없다”
“중국은 한-미-중 대화를 시작해 북한을 외교적으로 고립시킬 것이다.”
중국의 외교 전문가인 진찬룽(사진)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부원장은 23일 <한겨레>와 만나 북한이 4차 핵실험을 한다면 중국도 북한을 외교적으로 버릴 수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진 부원장은 중국의 대외정책을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산정책연구원 주최 세미나 ‘아산플래넘 2014’에 참석차 서울에 온 진 부원장은 “만약 그런 일(4차 핵실험)이 생긴다면, 문을 닫아뒀던 한-미-중 3자간 대화를 시작하게 될 것”이라며 “유엔 차원의 가장 강력한 경제제재 강화 방침에도 (중국은) 동의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그동안 중국은 북한을 뺀 한-미-중 대화에 신중한 입장을 보여왔다.
중국이 북한에 대해 강경해질 거란 전망의 배경엔, 시진핑 주석의 ‘수정주의적’ 성향이 깔려 있다고 진 부원장은 설명했다. 전통적으로 중국은 ‘순망치한’이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북한의 ‘완충 역할’에 주목해 북한을 전략적 자산으로 간주해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선 북한을 ‘전략적 부담’으로 보면서 한·미와의 관계 개선을 중시하는, 이른바 수정주의 시각이 나오고 있다.
진 부원장은 시 주석의 성향만으로 모든 것을 예단할 순 없지만, 적어도 “가까운 미래에 시 주석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를 만날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내다봤다.
중국은 북한에 ‘핵도, 혼란도, 전쟁도 안 된다’는 ‘스리 노’(3 NO)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고 진 부원장은 강조했다. 그런 면에서 중국에 북한을 압박해서 성과를 보이라는 한·미·일의 요구는 모순을 불러올 수도 있다. “중국이 너무 심하게 압박하면 정권 붕괴 등 혼란이 생길 수도, 전쟁이 날 수도 있다. 정책 선택에서 본질적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진 부원장은 또 북한이 핵실험을 한다 해도 중국만 비판받아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참가국 5개국 모두 어느 정도 책임이 있다. 북한은 환자고, 우리(5개국)는 의사다. 환자가 너무 독특해서 치료하지 못했다면 의술을 어떻게 발전시킬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