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
김성환 외교 ‘농축 중단이 6자회담 조건’ 재확인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13일 북한의 우라늄농축 프로그램(UEP)에 대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측면으로 보기 어려우며 우라늄 핵무기를 만들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밝히고, “플루토늄에 이어 핵무기를 만들려는 시도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는 우라늄농축 프로그램이 평화적 핵 에너지 이용 차원이라는 북한의 주장을 반박하는 것으로, 6자회담 재개 조건의 하나로 ‘우라늄농축시설 가동 중단’을 내건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6자회담 재개의 전제조건과 관련해 “한·미·일은 상당히 의견 접근이 됐고 러시아도 어느 정도 돼 있다”며 “중국도 핵실험 모라토리엄(유예) 등의 부분은 동의하고 있으나 북한의 입장을 조금 다르게 보기 때문에 논의할 부분이 있다”고 말한 뒤 “재개 조건은 중국을 통해 전달할 수도 있지만 남북간 대화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김 장관은 “남북 대화에서 핵문제가 의제화된다면 외교부가 그것을 다뤄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라늄농축 문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논의와 관련해서는 “관련국들간에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며 “우라늄농축 프로그램 문제는 앞으로 6자회담 틀 내에서 다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