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입장을 비공식적으로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는 지난 7일 연평도 포격 사태와 관련해 “서해 포격전의 사후대책과 관련해 각국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나 전망적으로는 조(북), 중, 미 3자 간에 어떤 형태로든 협상의 틀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신문은 ‘60년째의 포격전-정전체제, 전환의 가능성’이라는 제목의 연재 기사에서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아 법적으로 조선(북한)과 미국은 여전히 교전상태에 있는데, 조선에서는 60년 전에 참전한 중국과 미국이 전쟁을 종식하지 못했고 그 상태를 방치했다고 인식하고 있다”며 이렇게 강조했다.
신문의 이런 언급은 북한의 궁극적인 목적이 평화협정 체결이라는 점을 재확인하며, 특히 협상 참여국으로 한국을 제외한 채 정전협정의 서명당사국인 북·미·중 3개국만을 언급해 앞으로 주목된다. 하지만 신문이 언급한 북·미·중 3개국간 협상틀이 중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 긴급협의’에 대한 거부를 의미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신문은 “2012년을 ‘강성대국의 대문을 여는 해’로 정한 조선의 평화공세는 강화돼 나갈 것”이라며 “그 해는 미국에서도 대통령 선거가 있고 중국에서는 새 지도부가 들어서 ‘전쟁과 평화’라는 근본문제의 주도권을 둘러싼 외교적 각축전은 앞으로 치열한 양상을 띨 것”이라고 지적해, 미국에 대한 대화공세를 이어갈 것임을 내비쳤다.
신문은 특히 “조선은 적들의 도발에 단호히 대처할 태세만 갖추면 되고 굳이 위협공세를 취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