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에 표기 미등록, 정부 링크도 없어…일본은 적극적
독도 영유권을 둘러싼 ‘지명 표준화 외교’에서 한국이 일본에 크게 뒤처져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지난달 31일 펴낸 ‘국제지명표준화 관점에서 바라본 독도 표기 문제 및 대응 방안’이라는 보고서에서 ‘지명에 관한 유엔전문가 그룹’(유엔지명위원회)과 관련한 한-일의 활동을 비교한 뒤 “한국 국토지리정보원도 일본과 같은 지형지명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지만 외국기관과 연계가 부족하다”고 밝혔다.
입법조사처 보고서를 보면, 일본은 1987년, 1994년 두 차례 지도편집자 등을 위한 지명 가이드라인을 유엔지명위원회에 등록·제출했으며 2007년 일본지명요람 영문판을 간행했다. 반면에 한국은 로마자표기 지침을 정식 등록하지 않았다. 유엔지명위원회의 누리집에도 일본은 자국 국립지리원 지명검색서비스를 걸어두고 있지만, 한국은 링크가 돼 있지 않다.
입법조사처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지명의 결정은 매우 정치적이며 민감한 주제인데도 한국은 이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부족해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이 축소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해 입법조사처는 △지명 관련 주요국가 기관과 국제기구 현황, 의사결정 체계에 대한 파악 △유엔지명위원회에 대한 재정 지원을 포함한 적극적 참여 △지명문제에 영향력이 큰 미국·영국·유럽연합·국제기구에 관련 전문가 상시 파견 등을 제안했다.
유엔지명위원회는 국제적 수준의 지명표준화를 위한 국가간 조정을 목적으로 1958년에 설립됐다. 아시아 국가 가운데 일본이 가장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은 2002년 처음으로 이 회의에 참석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