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취재진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김혜윤 기자 unique@hani.co.kr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무총장이 북핵 문제와 관련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원자력기구가 더 큰 역할을 맡을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16일 오전 외교부 출입기자단과 가진 인터뷰에서 “국제원자력기구는 북한으로 국제원자력기구 사찰단 또는 국제원자력기구 인력을 필요하다면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며 이처럼 밝혔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지난 14일 한국에 입국하며 북한의 7차 핵실험과 관련해 “상당히 우려할 만한 정보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이런 발언의 배경을 묻자 “북한이 우라늄 농축과 관련된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는 정보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어 “영변 핵시설 관련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며 “영변 원자로는 3∼4년 주기로 가동되는데 2023년, 2024년에 가동이 완료될 수 있다. 아마 그 이후에 ‘방사화학실험실’이 작동을 시작할 준비를 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방사화학실험실은 핵무기 생산에 필요한 플루토늄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 후 핵연료를 재처리하는 공장이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또 내년 상반기로 예상되는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내 방사성 오염수 방류 계획에 대한 한국 등 주변국들의 우려에 대해 “이 같은 우려를 아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도 했다. 아울러 일본의 오염수 처분 준비 작업에 대해 “진행 중에 있는 프로세스(절차)이며 아직 결론이 난 것이 아니”라며 “국제 안전기준에 부합해서 방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가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러시아 정부 스스로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이 없다고 이야기했다”며 “저는 계속적으로 핵무기 사용은 안 된다고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제가 집중하고 있는 건 핵무기가 아니라 핵사고의 위험”이라며 우크라이나 내에 위치한 자포리자 원전에 사고의 위험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그로시 사무총장은 이날 방한 일정을 마치고 출국한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방한기간 동안 윤석열 대통령과 박진 외교부 장관 등을 만나 북한 핵실험 가능성·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처리 문제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의 방한은 2017년 9월 유키야 아마노 사무총장 이후 5년 만이다.
신형철 기자
newir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