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금강산 관광지구를 현지지도하고 남쪽 시설의 ‘합의 철거’를 지시했다고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이 10월23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은한 통일부 부대변인은 29일 “(금강산관광 시설 가운데 장기 관광 중단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온정리라든지 아니면 고성항 주변 가설 시설물부터 정비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금강산관광 시설 합의 철거’ 지시(<노동신문> 10월23일치 1면 보도) 이후, 북쪽은 남쪽의 대면 실무회담(10월28일)이나 점검단 방북 계획(11월5일) 등을 받아들이지 않고 ‘철계 계획·일정을 문서로 알려달라’고 지속적으로 압박해왔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 등 정부 고위 인사들이 관광 재개를 전제로 일부 노후 시설 정비(철거)·보수 필요성을 언급해왔으나, 구체적 대상을 밝힌 건 처음이다.
온정리엔 이산가족면회소, 온정각, 구룡마을, 문화회관 등이 있다. 고성항 주변엔 금강카라반, 금강빌리지, 해금강호텔 등이 있다. 이들 시설물은 2008년 7월 금강산관광 중단 이후 지금껏 방치돼 왔다. 특히 금강빌리지와 구룡마을의 컨테이너 개조 숙소는 녹이 많이 슬었고, 바지선을 활용한 해금강호텔도 녹이 슬었다고 전해진다. 김은한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온정리·고성항 주변 가설 시설물 정비 구상을 “사업자와 긴밀히 협의 중”이라며 “북한이 제기한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 금강산관광지구의 발전 방향에 대해 폭넓게 논의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부대변인은 “금강산관광 문제와 관련해 (북쪽과) 지속적으로 협의 중”이라며 “협의의 구체적인 내용은 현재 시점에서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정부의 일부 ‘재사용 불가능 가설 시설물 정비 구상’은 북쪽의 ‘일방적 철거’를 막으려는 방편이기도 한데, 남북 사이에 의미 있는 의견 접근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한다.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27일 “북한은 ‘문서교환 방식으로 철거 일정과 계획을 보내달라’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며 “남북 간의 입장 차는 여전히 크다”고 밝혔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