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달러 위조 논란과 관련해, 한국정부가 다른 나라와는 별도 채널의 긴밀한 정보협의를 미국쪽에 요청한 것으로 21일(현지시각) 알려졌다.
미 재무부는 지난 16일 한국을 비롯한 6자회담 참가국과 유럽연합(EU), 호주, 싱가포르, 타이 등의 외교관을 초청해 북한의 위조지폐 제조·유통 활동과 관련한 비공개 브리핑을 열었다.
브리핑의 구체적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미 재무부는 이 자리에서 북한이 위조한 것으로 알려진 100달러 짜리 달러지폐(슈퍼노트)를 직접 보여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일부에서 보도한 것과는 달리 북한쪽이 거액의 100달러 위폐를 제3국 은행에 입금하는 장면이 담긴 사진을 제시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의 한 한국쪽 외교소식통은 ‘북한이 위폐 제조·유통 활동에 개입했다는 확증이 제시됐느냐’는 질문에, “북한이 위폐를 바꾸는 사진 같은 건 제시되진 않았다”며 “최종 판단은 본국에서 내리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고위 외교소식통은 “북한 위폐 문제에 대해선 한국정부도 나름대로 알고 있는 게 있다. 미국이 제시한 걸 단순한 ‘주장’으로 보긴 힘들며, ‘객관적 사실’을 담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브리핑 직후 한국은 미국에 별도의 정보협의를 요청했다고 복수의 외교소식통은 전했다. 한 고위 외교소식통은 “한국은 (북한 문제의) 직접 당사자인 만큼, 다른 나라들과 함께 전반적 브리핑을 받기 보다는 별도로 설명을 받을 필요가 있지 않겠느냐는 뜻을 미국정부에 전한 것으로 안다”며 “이것이 미국의 브리핑을 불신한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외교소식통은 “마치 이것이 ‘진실게임’처럼 비춰지는 건 곤란하다”며, 한-미간 별도 채널의 정보교류 요청이 미국에 ‘확실한 증거’를 요구하는 것은 아니란 점을 애써 강조했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