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정식 개통한 중국 지린성 지안과 북한 만포 간 국경 다리. 관광객 등을 태운 버스가 정식 개통 후 처음으로 중국에서 북한으로 향하고 있다. 지안/연합뉴스
중국이 탈북자를 단속하고 밀수를 막기 위해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적용한 검문소를 설치한다고 중국 <법제일보>와 홍콩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가 9일 보도했다.
중국 지린성 퉁화 지역 국경순찰대와 중국 최대 이동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은 북한 자강도 운봉호에 인접한 윈펑 검문소에 중국 최초의 5G 검문소를 건설하는 내용의 협약을 지난달 23일 체결했다고 <법제일보>는 전했다. 이 검문소는 압록강변에 있는 북-중 국경도시인 지안시(퉁화시 관할)에 건설된다. 이 지역은 탈북자들이 중국으로 향하는 주요 거점이고 밀수도 많지만, 험준한 산악지대가 많고 감시 대상 지역이 넓어 당국이 단속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5G 검문소가 설치되면 순찰대원이 가상현실 안경을 착용해 실시간 감시를 하는 한편 순찰 드론, 야간 감시 모니터 등을 5G망으로 연결해 단속을 훨씬 강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범 사업으로 건설된 이 5G 검문소가 효율적이라고 판단되면 북-중 접경지역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중국 당국이 지난 2월 북-미 하노이 정상회담이 합의 없이 끝난 뒤 북한의 식량난이 심각해지고 탈북자가 늘어날 가능성 등을 우려해 이 검문소를 설치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사우스차이나 모닝포스트>는 보도했다.
한편, 2016년 완공됐지만 개통이 계속 미뤄졌던 중국 지안과 북한 만포 간 국경을 잇는 다리가 8일 정식으로 개통됐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대북제재 등을 의식해 개통을 미뤄온 이 다리를 개통한 것은 중국이 관광 등 제재와 관련 없는 분야에서 북-중 경제협력과 교류를 활발히 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중국의 한 외교 전문가는 “중국이 유엔 안보리 제재는 준수하지만, 중국 관광객들의 북한 관광과 북한 인력 교육 등 제재 위반이 아닌 분야에서는 북한과의 협력을 늘리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박민희 기자
minggu@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