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철 북 대사 “근거 있냐” 반발
“피살이 맞다면 말레이 책임”
말레이와 공동수사 현실성 없어
“피살이 맞다면 말레이 책임”
말레이와 공동수사 현실성 없어
강철 말레이시아 주재 북한 대사가 20일 전격 요구한 ‘공동 수사’는 김정남 피살 사건과 관련해 갈수록 짙어지는 ‘북한 배후설’을 차단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보인다. 하지만 말레이시아 정부가 이를 받아들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
강 대사는 이날 오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이번 사태의 ‘피해 당사국’임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또 사건의 배후를 묻는 질문에 “말레이시아 경찰이 해명해야 한다”며 북한 배후설을 일축했다. 말레이시아 수사당국이 핵심 용의자로 꼽은 북한인 4명이 평양에 도착했다는 보도에 대해 묻는 질문엔 “용의자라고 보는 근거가 어디 있느냐”고 격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는 “같은 날 출국한 사람이 많은데 왜 우리 사람들만 문제시하는 것이냐”고 되묻기도 했다.
강 대사는 특히 “우리 외교관 여권 소지자(김정남)가 실제로 공항에서 피살된 것이라면, 그 책임은 전적으로 말레이시아 당국에 있다”고 말했다. 특권으로 보호받는 외교관 여권 소지자가 피살됐다면, 말레이시아 정부가 보호 의무를 게을리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다. 이 역시 북한이 ‘피해 당사국’이란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개연성이 높아진 ‘북한 배후설’에 ‘남한 배후설’을 제기하며 맞불을 놓기도 했다. 사건 초기부터 말레이시아 정부가 남한 정부와 결탁했으며, 이번 사건으로 이득을 보는 건 남한뿐이라는 주장이다. 이 모든 게 ‘공동 수사’의 정당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강 대사의 주장은 ‘현실성’이 떨어져 보인다. 수사당국이 북한 쪽에 의심의 눈초리를 강하게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말레이시아 정부가 공동 수사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또 피살된 사람이 외교관 여권을 소지했다고 해서 해당 국가의 수사 절차를 달리 적용하는 관례는 없다고 외교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북한이 자신들의 연루 의혹이 있는 사안에 대해 ‘공동 수사’를 제안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0년 3월 천안함 사건 때와 2015년 8월 비무장지대 목함지뢰 사건 때도 북한은 우리 쪽에 ‘공동 수사’를 제안한 바 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저지른 짓이란 혐의가 있는 사안에 대해 공동으로 수사를 하는 건 상식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말레이시아 당국의 선택도 다르지 않을 전망이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