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배치 유력지인 경북 성주군 초전면 성주골프장. 연합뉴스
국방부와 롯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배치 터 교환이 지연되는 등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롯데가 중국의 ‘보복 조처’ 등을 의식해 경북 성주골프장과 경기도 남양주 군유지의 교환 계약 체결을 머뭇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다.
국방부와 롯데는 지난주 교환할 부지의 감정평가액에 합의하는 등 실무 절차를 마무리하고 현재 롯데 이사회의 승인 절차만 남겨놓고 있다고 국방부 당국자가 16일 밝혔다. 그러나 롯데가 이사회 개최를 미루고 있어 애초 이달 안에 교환 계약을 맺는다는 국방부의 계획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교환 계획이 약간 늦춰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다음달 초쯤 롯데와 교환 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중국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는 롯데가 최근 중국의 보복성 규제에 대한 우려를 털어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터 교환 계약이 상당 기간 표류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롯데와 국방부가 부지 교환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지난해 11월16일 이후, 롯데의 중국 내 모든 사업장 세무조사,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통과, 특별검사의 재벌 수사 본격화, 조기 대선 국면 등 정국 상황의 급변이 롯데의 셈법을 복잡하게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11월 이후 부지 교환을 압박하던 정부의 힘은 떨어진 반면, 중국의 강력한 보복 의지는 더욱 가시화했기 때문이다. 롯데 관계자는 “국가 안보와 국민 여론, 중국의 통상 관련 압박 등 여건이 우리의 한계를 벗어난 사안이라 큰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 이사회에서 통과를 하겠지만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진퇴양난의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병수 김은형 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