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 비롯해 주민들 범군민대책위 꾸려 조직적 저항
13일 궐기대회, 14일부터 서명운동, 15일 국방부 항의방문
전국 70% 공급하는 참외 생산기반 무너질까 우려
13일 궐기대회, 14일부터 서명운동, 15일 국방부 항의방문
전국 70% 공급하는 참외 생산기반 무너질까 우려
경북 성주가 12일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지역으로 단수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자, 군수를 비롯한 지역주민들이 격렬히 반발하고 나섰다.
경북 성주군은 이날 오후 성주군청 대회의실에서 새누리당 소속인 김항곤 군수와 주민 등 100여명이 모여 ‘사드 성주 배치 반대 범군민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이재복)를 발족했다. 성주군 사회단체협의회, 이장상록회, 새마을회, 의용소방대 등 50여개 단체 대표가 참여한 대책위는 이날 사드의 성주 배치를 막는 데 실력 행사도 불사하겠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대책위는 13일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성밖숲에서 ‘사드 배치 반대 범군민궐기대회’를 열 계획이다. 14일부터는 사드 성주 배치에 반대하는 범군민 서명운동을 시작하기로 했다. 15일에는 국방부를 항의 방문할 계획이다. 이재복 대책위원장은 “사드 배치 문제로 군민들이 심각하게 동요하고 있다. 지역 생존과 자주권 확보를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지역 내 사드 배치를 결사 저지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11시 성주군의회는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사드 배치를 저지할 다양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배재만 성주군의회 의장은 “사드의 레이더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전자파는 위험 반경이 최대 5.5㎞에 달해 성주군 성산포대에 배치하면 5만 군민의 생활과 건강상의 위해는 물론 지역경제, 사회적인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야기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성주군은 주민의 60%에 이르는 농민들이 전국 참외의 70%를 생산하는데 사드가 들어오면 참외 생산 기반이 무너질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정의당 경북도당(위원장 박창호)도 이날 성명을 내어 “경북 어디에도 미국, 일본 등 타국의 방위를 위해 내어 줄 땅은 없다”고 밝혔다.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에는 현재 공군 병력 170여명이 호크 미사일 방공포대를 운용하고 있다. 성주읍 중심지에서 1.5㎞ 떨어진 곳으로 해발 400m 고지 지역이다. 국방부는 이 호크 미사일 포대를 다른 곳으로 옮기고 사드를 배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민구 장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사드 배치 부지와 관련해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아 현재 운용하고 있는 미사일도 대개 그런 유사한 위치에 있어 (사드 배치도) 그렇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일우 박병수 기자 suh@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