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배치 결정 바로 다음날…10여㎞ 높이까지 날다 공중폭발
미국의 북한인권침해 책임자 김정은 적시 등 대응 ‘무력시위’인듯
한·미·일 일제히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규탄
미국의 북한인권침해 책임자 김정은 적시 등 대응 ‘무력시위’인듯
한·미·일 일제히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규탄
북한이 한국·미국 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배치 결정 다음날인 9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시험발사했다. 10여㎞ 높이에서 공중 폭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미·일 3국 정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 위반”이라고 입을 모아 규탄했다.
합동참모본부(합참)는 “북한이 9일 오전 11시 함경남도 신포 동남쪽 해상에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 사출은 정상적으로 이뤄졌으나 초기 비행은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미국 전략사령부도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북극성'(KN-11)으로 추정되는 미사일이 신포에서 발사돼 북한과 일본 사이 바다로 떨어진 것을 탐지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는 4월23일 이후 76일 만이다.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신포급(2000t급) 잠수함에서 발사돼 수면 위에서 로켓 점화에 성공했으나 공중에서 폭발한 것으로 군 당국은 파악했다. 폭발 직전 미사일은 높이 10여㎞까지 솟았으며, 거리로는 수㎞ 비행에 그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이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수면 위까지 밀어올린 뒤 엔진을 점화하는 ‘콜드런칭’ 기술은 갖췄지만, 아직 비행 기술은 완성하지 못한 방증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4월23일 시험발사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고체연료 엔진으로 실험한 것으로 추정된다. 군 당국자는 “북한이 두 달 전 시험발사 뒤 공개한 사진의 로켓 불꽃 색깔 등을 보면 전형적인 고체연료의 특성이었다. 정확한 것은 추가 분석을 해봐야 하지만, 이번에도 고체연료 엔진으로 비행 실험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러나 기술적으로는 4월23일 시험 발사 때의 수준에 못미쳤다. 북한은 지난번 실험 때는 30여㎞를 비행한 뒤 공중에서 폭발했다. 군 당국자는 “북한이 잠수함발사미사일을 아직 개발 중이기 때문에 여러가지 실험을 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한 두 번 실험 결과만 보고 기술적으로 퇴보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북한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현지지도 사실 등을 대대적으로 보도한 4월23일 시험발사 때와 달리 이번엔 10일 오후까지 관련 보도를 내보내지 않고 있다.
북한의 이번 발사는 미국 정부가 김정은 위원장을 북한인권 침해 책임자로 적시한 제재 대상 명단을 발표하자 “초강경 대응”(7월7일 외무성 성명)을 다짐한 직후이자, 한·미의 사드 배치 공식 결정 발표 다음날 이뤄졌다. 한·미 양국을 향한 무력시위로 풀이된다. 특히 사드가 잠수함발사미사일의 요격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부각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합참은 이번 발사에 대해 ‘입장’을 내어 “북한은 6월22일 (중거리 지대지미사일) ‘무수단’ 시험 발사에 이어 9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 발사까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한는 탄도미사일 발사 행위를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다. 우리 군은 북한의 이러한 도발 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따로 내어 “주요국과 긴밀히 협력해 안보리 결의의 철저한 이행을 포함한 더욱 강력한 대북제재와 압박을 지속해나갈 것”이라며 “한·미 연합방위능력을 바탕으로 한 대북 억지력을 지속 강화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일도 규탄 목소리를 높였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9일 “단호하게 규탄한다”며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도전으로, 국제사회와 확실하게 연대해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게리 로스 미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은 지역 긴장을 추가로 고조시키는 행위를 삼가고 대신 국제적 약속을 준수하기 위해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는 데 집중하라”고 촉구했다. 미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는 북한이 9일 발사한 미사일이 북미에 위협이 되지 않는 것으로 결론내렸다고 밝혔다.
박병수 이제훈 기자, 워싱턴·도쿄/이용인 길윤형 특파원 suh@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