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들이 11일 오후 경기도 평택시 신장동 오산미군공군기지 정문 앞에서 열린 ‘주한미군의 탄저균 불법 반입 규탄, 세균전 실험실 및 훈련부대 폐쇄 촉구 국민대회’에 참석한 시위대를 보며 웃고 있다.
평택/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사고조사·재발방지대책 마련키로
각국 전문가 20명씩 참여할 예정
각국 전문가 20명씩 참여할 예정
지난 5월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 탄저균 샘플 배송 사고와 관련해, 한-미가 합동실무단을 꾸려 사고조사 및 재발방지책 마련에 나섰다.
외교부 당국자는 12일 “정확한 사실관계 확인 및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위해 주한미군 주둔군 지위협정(SOFA·소파) 합동위 산하에 양측 관계부처 및 기관의 전문가들이 폭넓게 참여하는 합동실무단을 11일 구성했다”고 말했다.
합동실무단에는 국방부 정책기획관(국장급)을 단장으로,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국군의무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 질병관리본부, 외교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관세청 관계자와, 민간 법률 및 미생물 분야 전문가 각 1명 등 적어도 20명이 참여할 전망으로, 미국 쪽에서도 동일한 규모가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합동실무단은 사고가 일어난 주한미군 오산기지 검사실을 이달 안에 방문해 조사를 할 예정이다.
또 한-미 당국은 15일 외교부 북미국장과 테런스 오샤너시 미 7공군사령관이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소파 정기 합동위원회에서도 탄저균 배달사고 문제를 정식 의제로 논의하기로 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재발방지를 위한 소파 개정 필요성과 관련해, “소파 규정 자체를 개정하는 것은 (한·미간 협의 등으로) 시간이 오래 걸린다”며 “소파 운영절차 개선을 통해 재발방지를 할 수 있다면 그런 방향으로 검토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한편, 살아있는 탄저균이 배달됐을 가능성과 관련해, 정부 당국자는 지난 5월27일 주한미군 쪽이 “미 국방부가 폐기하라는 통보를 하달했을 때, 이 통보를 받은 즉시 탄저균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즉시 폐기조치했다”고 전해왔다고 이날 말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