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북자 2명 17일 송환도 밝혀
6·15 남북공동선언 15주년인 15일 북한이 ‘정부 성명’을 통해 남북 당국간 대화와 협상에 나설 수 있다며 남쪽에 “실질적인 행동”을 촉구하고 나섰다. 북쪽은 또 성명 발표 직후 조선적십자 중앙위원장 명의 통지문에서 지난달 북-중 국경을 넘어 입북한 남쪽 국적자 2명을 돌려보내겠다며 ‘대남 유화 제스처’를 취했다.
북쪽은 이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성명’을 내어 “북남 사이에 신뢰하고 화해하는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당국간 대화와 협상을 개최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성명은 “남조선 당국은 말로만 6·15 공동선언과 10·4 선언을 존중한다고 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한다”며, △남북관계와 통일문제의 자주적 해결 △체제통일 추구 중단 △한-미 연합 군사훈련 중단 △(전단 살포를 비롯한) 비방·중상 등 도발 행위 중지 △남북 교류와 협력을 가로막는 법적·제도적 장치 철폐 등을 남쪽에 요구했다.
그러나 정부는 통일부 대변인 성명을 통해 “북한은 부당한 전제조건을 내세우지 말고 당국간 대화의 장에 나오는 한편, 민간 교류에도 호응해 나올 것을 촉구한다”며 전제조건 없이 대화에 응하라고 밝혔다. 사실상 북쪽의 요구를 거절한 셈이다.
다만 남쪽 국적자 2명의 송환과 관련해서는 17일 오전 10시에 판문점을 통해 우리 국민 2명의 신병을 인수하겠다는 의사를 이날 오후 북쪽에 통보했다. 송환 대상자는 지난달 11일 중국 여행 중 북-중 접경지역에서 실종됐던 이아무개(59·남)씨와 진아무개(51·여)씨로, 통일부는 “이들 2명이 중국을 여행하던 중 북-중 접경지역에서 실종됐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파악하던 중이었다. 우리 국민의 신병을 인수한 이후 건강상태를 점검하고 입북 경위 등에 대한 확인 절차를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 당국이 억류중인 우리 국민을 이렇게 빨리 송환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평가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