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문화 등 적극 지원키로
지자체 사업도 가급적 허용 방침
6·15 공동행사 등 돌파구 될지 관심
지자체 사업도 가급적 허용 방침
6·15 공동행사 등 돌파구 될지 관심
정부가 광복 70주년을 맞아 민간단체와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를 폭넓게 허용하고 문화·역사·스포츠 분야의 공동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혀 북한 쪽의 반응이 주목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1일 “한미 연합군사훈련이 끝나고 남북교류에 대한 민간차원의 요구가 나오는 시점에서 정부의 입장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민간교류 추진 관련 정부 입장’을 발표하게 됐다”며 이런 방침을 밝혔다.
정부는 남북 축구·탁구 등 스포츠 교류와 문화유산 공동 발굴 및 보존 등 문화·역사 교류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민간 남북교류와 대북 인도적 사업에 대한 남북협력기금의 지원도 늘리기로 했다. 또 5·24 조처 이후 자제를 권고해온 지자체의 남북교류 사업도 사회·문화교류와 인도적 지원사업에 한해 가급적 허용하고, 민간단체와 동행하는 언론의 방북 취재에도 다시 문을 열어주기로 했다.
정부의 이런 태도는 지난달 27일 민간단체 에이스경암의 대북 비료지원을 승인한 것과 더불어 북쪽에 ‘해빙기’를 제안하고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가 추진하는 광복 70돌 남북공동행사에 대한 북쪽의 호응을 끌어내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인다.
같은 맥락에서 정부가 ‘광복 70돌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가 전날 신청한 ‘6·15공동선언발표 15돌 남북공동행사’를 승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북쪽이 바라는 ‘6·15 남북공동행사’를 승인해야 북쪽도 당국 차원의 광복 70돌 행사에 호응할 명분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6·15 공동행사에 대해 “지금 사업내용을 검토 중”이라며 “특정 사업이나 단체를 가지고 어떤 성격이냐를 판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전체적 상황에서 그 사업의 내용을 정확히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북쪽이 손뼉을 마주칠지는 미지수다. 일단 6·15 공동행사 허용 여부 등을 지켜보면서 반응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북쪽이 긍정적으로 나올 경우 김대중평화센터가 이달 말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이희호 이사장의 방북 등과 맞물리면서 경색 일변도로 치달아온 남북관계에도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