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 대책회의 한 개성공단 입주기업 대표가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열린 긴급 대책회의에서 참석자들의 의견을 듣다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싼 채 고민하고 있다. 이날 비대위는 “빈사상태에 놓인 기업의 회생과 바이어 이탈 방지를 위해 이른 시일 안에 공단의 폐쇄 여부를 결정해 달라”고 촉구하며 “결정을 안 할 경우 우리는 개성공단 설비를 국내외 지역으로 이전할 수밖에 없다”고 발표했다. 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장마 닥쳐 기계·전자 장비 훼손
폐쇄든 가동이든 10일안 결정을”
손놓고 있는 정부에 강력 촉구
폐쇄든 가동이든 10일안 결정을”
손놓고 있는 정부에 강력 촉구
개성공단에 입주한 기계·전자 부품 기업들이 3일 “개성공단 설비를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46개 기계·전자 부품 기업 대표들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7층 회의실에 모여 긴급회의를 열고 뜻을 모아 “(남북 정부는) 앞으로 10일 안에 폐쇄든 가동이든 결정해 달라. 결정이 안 될 경우 개성공단 설비를 국내외 지역으로 이전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결의문을 정해 발표했다.
기업들이 설비 이전이라는 ‘강수’를 내놓은 이유는 가동 중단 92일째에 접어들고, 장마가 겹치면서 기업 쪽의 신뢰도와 설비에 심각한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유동옥 ‘개성공단 정상화 촉구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공동위원장(대화연료펌프 대표)은 “90일 단위 예방정비 기한이 지나고 습한 장마가 닥쳐 장비 훼손이 심각하다. 또 바이어(거래처)의 이탈이 심각해 기업 생존이 경각에 달렸다”고 말했다. 기계·전자는 다른 업종에 비해 설비의 민감도와 납품받는 기업의 안정적인 공급 요구 수준이 높은 편이다. 이들은 공단 정상화를 촉구하면서도, 어려울 경우 설비 이전에 필요한 조처를 기한 안에 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한국 정부 당국은 북한이 부당한 조처를 취했으니 그 책임은 북한에 있다는 태도 이외에 어떤 대책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통일부의 한 당국자는 이날 “우리 기업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북한이 지난번 합의했던 당국간 회담에 나오는 것이 문제를 풀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이 설비 이전을 위한 조처를 요구한 데 대해서는 “현재로선 방침이 정해진 게 없으며 심층적으로 검토한 뒤 대응 방안을 강구하겠다”고만 말했다.
한편 전체 123개 입주기업 대표들은 이날 중소기업중앙회 2층 회의실에서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개성공단 정상화를 염원하는 ‘평화 국토대행진’에 나서기로 결의했다. 순례단은 4일 오전 10시 부산역에서 출발해 대구, 대전, 서울 등 전국을 거쳐 경기도 파주 임진각까지 행진하며 개성공단 정상화를 호소하는 전단지 1만여장을 배포할 예정이다.
회의에선 우리 정부에 대한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정기섭 비대위 기획분과위원장은 “문을 닫은 책임은 북한에 있지만, ‘우리는 급할 게 없다’는 식의 남한 당국자 입장에 실망과 분노를 느낀다”고 말했다. 한재권 비대위 위원장은 “언론 등을 통해 입주기업들이 수천억원의 보상을 받은 것처럼 알려지고 있지만 실제 지원 금액은 695억원이며, 그마저도 대출이다.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오성 강태호 기자 sage5th@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정희 전 대통령이 깔았던 호피는 어디로 갔을까?
■ 링거 꽂고 출석했다 걸어서 나온 김하주 이사장…‘법원의 기적’?
■ 평균나이 75살…‘할배 4인방’ 예능에 떴다
■ 경주 금관총 주인 밝혀질까
■ [화보] 이집트 군부 개입 초읽기 ‘일촉즉발’
■ 박정희 전 대통령이 깔았던 호피는 어디로 갔을까?
■ 링거 꽂고 출석했다 걸어서 나온 김하주 이사장…‘법원의 기적’?
■ 평균나이 75살…‘할배 4인방’ 예능에 떴다
■ 경주 금관총 주인 밝혀질까
■ [화보] 이집트 군부 개입 초읽기 ‘일촉즉발’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