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까 말까
정부안 강경파 반대 만만찮은듯 미국 정부는 30일(현지시각) 북한의 리근 외무성 미주국장이 참석하는 뉴욕의 세미나에 대표를 파견할지를 놓고 막판까지 고심을 거듭했다. 미 국무부 동아태국 관계자는 세미나 하루 전날인 29일에야 조셉 디트라니 국무부 대북협상 대사와 제임스 포스터 한국과장이 참석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민간단체인 전미외교정책협의회(NCAFP) 주최로 이틀 동안 열리는 이 세미나엔 지난해에도 디트라니 대사가 참석했다. 북-미간 관계가 아주 냉랭하던 지난 2003년에도 찰스 카트먼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케도) 사무총장과 도널드 카이저 국무부 부차관보가 참석했다. 따라서 북한의 6자 회담 복귀 가능성이 높아지는 때 열리는 이번 세미나에 미국 정부가 끝까지 참석을 저울질한 데 대해선 뜻밖이라는 반응이 많다.
미국의 머뭇거림은 내부 강온파간 갈등과 관련이 있으리라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미 국무부는 디트라니 대사를 뉴욕에 보내는 방안을 강하게 밀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의 한 외교소식통은 “국무부 쪽에선 세미나에 불참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인 것으로 안다”며 “그러나 북한이 6자 회담 복귀를 확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북-미간 직접 접촉을 달가워하지 않는 분위기도 미 행정부 내에 있다”고 말했다.
애초 리근 국장에서 미국 방문 비자가 발급된 점을 들어, 미국 쪽도 세미나에 참석하리나는 분석이 많았었다. 그러나 예상 밖으로 진통이 컸던 것은 최근의 유화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조지 부시 행정부 내에 강경파의 목소리가 만만치 않음을 뜻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미 정부내 강경파들은 최근 재개된 북-미간 뉴욕접촉에 대해서도 “북한의 시간끌기일 뿐, 아무런 성과가 없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세미나에는 한국에서 위성락 주미대사관 정무공사 등 6자 회담 참여국 관계자들이 모두 참석해, 민간 전문가들과 ‘동북아 안보’를 주제로 북한 핵문제와 6자 회담 재개 문제 등에 관해 집중 토론할 예정이다. 전미외교정책협의회의 동아시아 안보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열리는 이번 세미나는 비공개로 진행되며, 뉴욕 헌터대의 도널드 자고리아 교수가 주재한다. 각국 정부 대표가 참석하는 6자 회담이 ‘트랙 1’이라면, 뉴욕 세미나는 민간과 정부가 함께 참여한다는 점에서 ‘1.5 트랙’으로 불린다. 워싱턴/박찬수 특파원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