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군 징계 어떻게?
다음주 초 대규모 문책인사
다음주 초 대규모 문책인사
감사원이 10일 천안함 사건 대응 실태 감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이상의 합참의장 등 25명을 징계하도록 국방부에 통보함에 따라 다음주 초 대규모 군 문책 인사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군 안팎에서는 문민정부가 1993년 육사 출신 사조직인 ‘하나회’를 척결하면서 이뤄진 숙군작업 이후 최대 규모의 문책성 인사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음주 고위 장성들을 대상으로 대폭 문책 인사가 이뤄질 경우 김태영 국방장관의 거취가 최대 관심거리다.
군 내부에서는 이상의 합참의장이 물러나고 김태영 국방장관까지 경질될 경우 군의 지휘 공백이 너무 크므로 국방장관과 합참의장 동반 사퇴는 불가하다는 주장이다. 청와대에서도 김 장관에 대한 신뢰가 두터워 현재로서는 유임 가능성이 큰 기류다.
여권 핵심 인사는 “외국의 사례를 봐도 이런 일로 장관을 바꾸는 경우가 많지 않다”고 말해, 유임 가능성을 내비쳤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장관이 천안함 사건 발생 뒤 사의를 표하고, 이후 단호한 대응을 적절히 한 점에 대해 이 대통령의 신임이 높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지만 천안함 사태의 군 책임자 격인 국방장관은 유임시키고, 합참의장만 경질하는 것은 국민 정서와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청와대 내부에도 있다. 따라서 7월 이후 단행될 개각 때 김 장관 교체 문제가 함께 테이블에 오를 수 있다.
이 합참의장이 교체되면 한민구(육사 31기) 육군참모총장과 황의돈(육사 31기) 연합사 부사령관, 이계훈(공사 23기) 공군참모총장 등이 후임으로 거론된다.
한민구 총장이 의장이 되면 육사 32기 출신 중에서 대장 승진자가 추가로 나올 가능성이 있는 등 육군 대장급의 연쇄 이동이 예상되고 있다. 이 경우엔 청와대로서는 육군이 대부분인 군 지휘부 인사를 예정에 없이 대폭 해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한국군 인사라인이 아닌 황의돈 연합사 부사령관 또는 공군인 이계훈 총장이 발탁되면 군 수뇌부 인사 폭이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감사원은 징계 통보 대상자의 이름과 직책을 명시하지 않았지만, 군 안팎에선 박정화 해군작전사령관, 황중선 합참 합동작전본부장, 황원동 국방정보본부장, 김동식 2함대사령관, 합참 김학주 작전참모부장 등의 이름이 나오고 있다.
취임 일주일 만에 천안함 사건을 당한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감사원 징계 통보 대상에서 빠져 교체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권혁철 황준범 기자 nura@hani.co.kr
취임 일주일 만에 천안함 사건을 당한 김성찬 해군참모총장은 감사원 징계 통보 대상에서 빠져 교체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권혁철 황준범 기자 nur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