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보도
북한이 자체 기술로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고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2일 밝혔다.
북한 <중앙통신>은 이날 <노동신문>을 인용해 이렇게 밝히고 “핵융합의 성공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조선의 첨단과학기술의 면모를 과시하는 일대 사변으로 된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원천이 무진장하고 환경 피해가 거의 없는 안전한 새 에네르기(에너지)를 얻기 위한 핵융합 기술은 오늘 세계 과학계의 커다란 관심을 모으고 있다”고 핵융합 기술의 평화적 이용에 방점을 찍었다. 그러나 핵융합 기술은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방식의 핵무기보다 훨씬 강력한 강화형 핵무기나 수소폭탄 제조의 원천기술이 될 수 있어 북한의 발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문은 “과학자들은 수많은 과학기술적 문제들을 100% 자체 힘으로 해결함으로써 마침내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면서 “이 과정에 우리 식의 독특한 열핵 반응장치가 설계 제작되고 핵융합 반응과 관련한 기초 연구가 끝났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국내의 핵 전문가들은 대부분 핵융합 반응에 성공했다는 북한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핵융합이 일어나려면 2억도 이상의 매우 높은 고온·고압 환경이 조성돼야 하는데, 실험실에서 이런 고온고압 환경을 조성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박사는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북한은 평성 과학단지 등에서 핵융합 연구를 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핵융합은 실험실에서 성공하기 어렵고 지금까지 상온에서 핵융합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곳이 더러 있었지만 모두 검증 과정에서 인정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물론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방식의 핵폭탄이 터질 때 만들어진 고온고압에 의해 수소 원자를 융합하는 방식은 성공했다. 그러나 최근 북한에서 1·2차 핵실험보다 훨씬 위력적인 추가 핵실험 징후는 없었다고 정부 당국자들은 밝혔다. 다만, 핵분열형 핵폭탄(우라늄 및 플루토늄 폭탄)과 핵융합형 핵폭탄(수소폭탄)의 중간 단계인 ‘강화형 핵무기’를 만드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은 아니라는 얘기하는 전문가도 있다. 강화형 핵무기 개발은 미사일에 탑재할만큼 핵무기를 소형화할 때 이뤄진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물론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방식의 핵폭탄이 터질 때 만들어진 고온고압에 의해 수소 원자를 융합하는 방식은 성공했다. 그러나 최근 북한에서 1·2차 핵실험보다 훨씬 위력적인 추가 핵실험 징후는 없었다고 정부 당국자들은 밝혔다. 다만, 핵분열형 핵폭탄(우라늄 및 플루토늄 폭탄)과 핵융합형 핵폭탄(수소폭탄)의 중간 단계인 ‘강화형 핵무기’를 만드는 것은 기술적으로 어려운 일은 아니라는 얘기하는 전문가도 있다. 강화형 핵무기 개발은 미사일에 탑재할만큼 핵무기를 소형화할 때 이뤄진다. 이용인 기자 yyi@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