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미 존스 보좌관 “북핵 즉각적 위험 아냐”

등록 2009-05-29 20:30

제임스 존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제임스 존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다른 국가·테러조직으로 확산이 임박한 위협”
제임스 존스(사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7일(현지시각) “북한의 핵무기 자체로는 미국의 안전과 안보에 즉각적인 위협이 아니다”라며 “임박한 위협은 이런 기술을 다른 국가나 테러 조직과 같은 곳에 확산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존스 보좌관은 이날 ‘미국의 안보, 오바마의 접근법’이라는 주제의 워싱턴 강연에서 “북한이 핵을 무기화하고, 이를 운반할 수단을 갖기에는 갈 길이 여전히 멀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구체적인 대북 대응 방안에 대한 질문에는 “현재 진행중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답변할 수 없다”며 “다만 확산과 핵안전 등과 같은 문제는 전세계에서 의견이 점점 통일되고 있다”며 세계적 공동 대처 방침을 밝혔다.

윌리엄 페리 전 국방장관은 북핵 대응방안과 관련해 “북한에 대한 군사행동을 권고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전제하면서 “마지막 순간에 일부 군사적 옵션을 포함하는 분명한 포괄적 정책과 강압전략 외교”를 제시했다. 그는 이날 자신이 주도해 작성한 ‘오바마 정부의 핵정책 권고보고서’와 관련한 토론회를 외교협회에서 벌이고 “외교적 방법이 여전히 성공할 기회는 있다고 믿지만, 외교적 방법은 의미 있는 강제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때만 성공 가능성이 있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러나 그는 “현재의 상황은 2003년 상황과도 다르다”며 “북한에 대한 어떠한 군사옵션도 한국에 즉각적으로 결과가 느껴지기 때문에 한국 정부와 명확한 의견 일치가 있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과 한국, 일본이 참여한 주요국(P5+2)은 이날 오후 3차 회의를 열어 미국과 일본이 마련한 결의안 초안에 대해 집중 논의를 벌였다. 대북 제재 강화를 내용으로 한 이 초안은 특히 북한에 대한 대출과 교부금 등을 전면 금지하고 해외 은행들과의 거래를 사실상 중지시키는 등 금융제재를 통해 북한에 치명적 타격을 주는 방안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워싱턴/류재훈 특파원 hooni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전광훈이 이끄는 극우 정당, 국힘 하기에 달렸다 1.

윤석열·전광훈이 이끄는 극우 정당, 국힘 하기에 달렸다

이재명 “경호처장 공관, 해병대 사령관 공관으로 복원해야” 2.

이재명 “경호처장 공관, 해병대 사령관 공관으로 복원해야”

이준석 “윤석열에 차례는 왜 지내나, 제사상인가” 3.

이준석 “윤석열에 차례는 왜 지내나, 제사상인가”

윤석열 대검 ‘구름다리 틴팅’ 사건…막무가내 징조 5년 전 그날 4.

윤석열 대검 ‘구름다리 틴팅’ 사건…막무가내 징조 5년 전 그날

‘책 읽는 대통령 기다리며’…문재인 “분별력 갖추려면 독서해야” 5.

‘책 읽는 대통령 기다리며’…문재인 “분별력 갖추려면 독서해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