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통령 유력 후보 1, 2위를 다투는 고건 전 국무총리와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16일(현지시각) 미국에서 북한 핵문제에 대해 엇갈리는 접근법을 내놓았다.
고 전 총리는 이날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이 주최한 ‘세계 주요 정치지도자 초청포럼’에 참석해, “핵무장한 북한과는 절대로 공존할 수 없다”며 “북한이 6자 회담에 나오지 않고 핵 개발을 계속한다면 대북경협을 북핵 문제와 연계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핵 개발을 계속하면 현재 수준의 경협마저도 북핵 문제와 연계시켜야 한다”며, 대북 비료지원에 대해서도 ‘조건부 연계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박대표 "6자회담 전후 막론 북-미 양자대화 필요"
고건 전 총리 "북 핵개발 저지에 경협연계" 강경론
노무현 대통령 정부에서 총리와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낸 그의 이런 태도는 ‘북핵 해결과 경협은 병행한다’는 현 정부의 태도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박 대표는 이날 워싱턴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미국과 북한 사이의 깊은 불신이 6자 회담 교착상태의 한 원인”이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6자 회담 틀 안에서 6자 회담 전후를 막론하고 북-미간 양자 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을 뺀 6자 회담의) 5개국이 함께 ‘구체적이고 대담한’ 대북 공동제안을 하자”며 “이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이러이러한 것을 해주고, 포기하지 않으면 이렇게 하겠다는 것을 구체화해서 제안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날 미 국방부에서 도널드 럼스펠드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이런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박 대표의 의견은 ‘6자 회담이 재개되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지만 회담 재개의 유인책으로 사전에 새로운 제안을 내놓을 수 없다’는 미국의 태도와는 다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임종석 열린우리당 대변인은 17일 논평을 내어, “한나라당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남북 화해협력에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신호로 판단돼 반갑게 생각한다”고 밝혔다.워싱턴/박찬수 특파원, 연합 pcs@hani.co.kr
고건 전 총리 "북 핵개발 저지에 경협연계" 강경론
노무현 대통령 정부에서 총리와 대통령 권한대행을 지낸 그의 이런 태도는 ‘북핵 해결과 경협은 병행한다’는 현 정부의 태도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다. 반면에, 박 대표는 이날 워싱턴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미국과 북한 사이의 깊은 불신이 6자 회담 교착상태의 한 원인”이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6자 회담 틀 안에서 6자 회담 전후를 막론하고 북-미간 양자 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또 “(북한을 뺀 6자 회담의) 5개국이 함께 ‘구체적이고 대담한’ 대북 공동제안을 하자”며 “이는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이러이러한 것을 해주고, 포기하지 않으면 이렇게 하겠다는 것을 구체화해서 제안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는 이날 미 국방부에서 도널드 럼스펠드 장관과 만난 자리에서 이런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박 대표의 의견은 ‘6자 회담이 재개되면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지만 회담 재개의 유인책으로 사전에 새로운 제안을 내놓을 수 없다’는 미국의 태도와는 다른 것이다.
이와 관련해 임종석 열린우리당 대변인은 17일 논평을 내어, “한나라당이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과 남북 화해협력에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신호로 판단돼 반갑게 생각한다”고 밝혔다.워싱턴/박찬수 특파원, 연합 pc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