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담으로 경색 풀리는것 막겠다는 의도” 분석
북핵 6자회담의 재개 합의 등 대화 분위기가 조성되자 일본 정부가 또다시 납치 문제 ‘띄우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북한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동시에 북한 핵 실험 이후 한껏 고조된 일본 국내의 대북 적대감이 수그러들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일본 경찰당국은 2일 북한에 의해 납치됐다가 귀국한 소가 히토미(47)와 그의 어머니 미요시(74)의 납치 용의자가 ‘김명숙’이라는 이름의 북한 공작원이라고 발표했다. 일본은 체포장을 발부해 이 용의자에 대해 국제 수배를 내리는 한편, 베이징의 외교경로를 통해 북한에 신병 인도도 요청했다.
아베 신조 총리의 측근 가운데 한 사람인 우루마 이와오 경찰청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시점에 갑자기 이런 발표를 한 배경을 굳이 감추려 하지 않았다. 그는 북한의 6자회담 복귀에 맞춰 “일본이 결코 납치를 잊지 않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려는 데 목적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도쿄의 외교 소식통은 “일본 국민들에게 납치를 다시 상기시켜, 핵 문제를 둘러싼 대화의 진행으로 북한과 대치 국면이 느슨해지는 것을 막겠다는 일본 정부의 의도도 담겨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은 이와 함께 납치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을 끌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일본과 유럽연합은 2일 북한에 의한 외국인 납치를 ‘조직적인 인권침해’로 규정하고, 내년 유엔 총회에 북한의 인권상황에 대한 포괄적 보고를 하도록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요구하는 ‘북한인권 비난결의안’을 제3위원회(인권)에 제출했다. 현재 뉴욕에선 납치 피해자 가족회 간부들이 주요국 유엔대사들을 찾아다니며 납치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도쿄/박중언 특파원 park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