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장 사의 `간첩단 수사'와 무관"
청와대는 29일 김승규(金昇圭) 국정원장의 사의 표명 이유를 최근 국정원이 수사중인 대공(對共) 사건, 이른바 '386 간첩단' 사건과 연결짓는 시각에 대해 "터무니없는 얘기"라며 발끈하고 나섰다.
윤태영(尹太瀛)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가 민주노동당 간부의 북한 공작원 접촉사건을 발표한 데 대해 못마땅해 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 "전혀 근거 없고 황당한 얘기"라고 부인했다.
윤 대변인은 또 한나라당이 "`간첩단 사건'에 대해 청와대 386 참모들이 불똥이 튈 것을 우려, 김 원장의 사임을 압박한 것이 아닌가"라며 "청와대는 간첩단 사건의 수사 책임을 물어 사임시키려 한다"고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서도 "사실무근"이라며 정략적 정치공세라는 입장을 밝혔다.
청와대는 그러면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외교안보진영을 새롭게 구축하는데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김승규 원장이 사의를 표명했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밝혔다.
청와대는 당초부터 이번 외교안보라인 개편 때 국정원장 교체 문제를 검토해왔지만, 후임 국정원장 인선을 놓고 가닥이 잡히지 않았기 때문에 김 원장의 교체 시점을 뒤로 미루는 방안도 한때 검토됐다.
실제로 김승규 원장이 지난 26일 노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던 시점만 하더라도 후임 인선 문제때문에 사의를 당장 수용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튿날인 27일 후임 인선에 대한 노 대통령의 고심이 일정하게 가닥이 잡히면서 청와대는 이번 외교안보라인 개편 때 국정원장 교체도 포함시키기로 하고, 김 원장의 사의를 수용키로 했고 국정원은 이날 오전 김 원장의 사의 표명 사실을 발표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만의 하나 간첩단 사건 수사 때문에 국정원장을 교체한다면, 오히려 그럴수록 현 시점에서 교체하지 않지, 뭣하러 오해를 사는 인사를 하겠느냐"며 일각의 분석을 일축했다.
윤 대변인은 "김승규 원장은 사의를 표명했지만 후임자가 지명되고, 국회 청문회를 통과하기까지 원장으로서의 업무를 정상적으로 보게 돼 있다"며 김승규 원장 교체는 수사와는 전혀 무관함을 거듭 강조하며, 이와 관련한 보도들에 대한 법적 대응도 검토할 수 있음을 밝혔다.
성기홍 기자 sgh@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