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을 한목소리로 촉구하는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신속한 대북제재 결의안을 지지해왔다.
EU 25개 회원국 외무장관들은 오는 16일 룩셈부르크에서 외무장관 회의를 열어 안보리의 대북 제재결의안을 지지하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EU 지도자들은 13일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인도와의 정상회담에서도 공동성명에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하고 국제사회의 분명하고도 단호한 대응을 촉구했다.
주제 마누엘 바로수 EU 집행위원장은 "세계는 북한의 핵실험에 통일된 대응을 한다는 분명한 신호를 보낼 필요가 있다"면서 "실제로 국제사회의 전반적인 신뢰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핵실험에도 불구, 국제사회가 안보리 제재결의안 등 단호한 대응을 마련하는데 실패할 경우를 우려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당사국에 속하지 않은 EU는 그간 북핵 문제보다는 이란 핵 문제에 치중해왔다. 영국과 프랑스, 독일 등 이른 바 3강이 이란핵 타결을 위한 중재에 매달려왔다.
하지만 이란 핵 문제 역시 교착상태에서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가운데 북한의 핵실험 발표라는 달갑지 않은 소식을 접한 유럽 국가들은 자칫 잘못 대응할 경우 이란이 따라갈 가능성을 무엇보다 우려하고 있다.
필립 두스트-블라지 프랑스 외무장관이 최근 상원 비공개 회의에서 이란에 경고를 보내기 위해서라도 북한 핵실험에 맞서는 단호한 대응 수단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두스트-블라지 장관은 "북한이 핵 확산과 관련해 제재를 받지 않고 무사히 넘어갈 수 있다는 느낌을 이란에 주기 않기 위한 목적만을 위해서라도 국제사회의 단호함과 단결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EU는 안보리의 결의안을 반기면서도 북한에 대해 6자회담에 조속히 복구할 것을 촉구하는 등 대화를 통한 돌파구 마련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실제로 EU는 북한의 핵실험 발표 직후 수차례 성명을 통해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과 함께 북한에 전제조건없이 6자회담에 즉각 복귀할 것을 거듭 촉구해왔다.
특히 영국 언론들은 국제사회가 북한에 내보일 카드가 거의 없다면서 대화만이 해법임을 지적해 관심을 끌고 있다.
더 타임스, 가디언 등 영국의 주요 신문들은 "실제적으로 강대국들이 할 수 있는 새로운 것이 없으며, 대화가 현실가능한 유일한 대안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미국의 대 북한 군사공격은 한국은 물론 미국 대중도 지지하지 않을 것이므로 가능성이 없고,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 역시 북한의 경제 현실과 중국의 반대를 감안할 때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기 때문이란 분석에서다.
이상인 특파원 sangin@yna.co.kr (브뤼셀=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