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11일 "참여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은 미국의 동의를 얻지 못하고 추진한 데에 일차적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 때는 (햇볕정책을) 미국.일본과 협의해서 함께 갔지만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단독으로 포용정책을 밀고 가다 이제 한계에 부딪친 것 아니냐"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햇볕정책을 밀고갈 때 원칙은 튼튼한 안보를 바탕으로 하고 미국.일본과 협의해 함께 간다는 두 가지였다"며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은 그 두 가지가 다 없고, 우방의 지지를 못받는 포용정책은 우리 정부의 한계를 드러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 핵 이전에는 한국이 북한에 대해 우위를 점하고 있었지만 핵 출현 이후에는 그게 역전될 수 있다"며 "우리가 북한을 대할 때 과거 햇볕정책의 대상으로 민족적 양심에서 파트너로 대할지 우리 주적으로서 우방과 손잡고 대적해나갈지 결정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제는 (국제사회의) 집단적인 대응이 필요한 때며 그래서 유엔 결의를 통해 같이 간다고 하지 않았느냐"며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문제, 인도적 차원의 대북지원 문제도 우방과 충분히 상의해서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희 기자 lilygardener@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