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평안남도 회창군에 있는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릉.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이 ‘전승절’이라 부르는 정전협정 체결일(1953년 7월27일) 70돌을 앞두고 한국과 미국엔 대결적 태도를, 중국과 러시아엔 협력적인 태도를 강화하고 있다. 북한은 한-미 동맹에 맞서 ‘핵에는 핵으로 대응하겠다’고 엄포를 놓는 한편으로, 중-러 양국 대표단을 평양으로 초청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중통)은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의 초청에 의하여 국방상 쎄르게이 쇼이구 동지를 단장으로 하는 로씨야(러시아) 연방 군사대표단이 위대한 조국해방전쟁 승리 70돌에 즈음해 우리 나라를 축하방문하게 된다”고 보도했다. 앞서 ‘중통’은 24일 밤, 리훙중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을 단장으로 하는 중국 당·정부 대표단도 조선노동당 중앙위 초청으로 방북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유행 탓에 북한이 2020년 1월31일 국경을 전면 폐쇄한 지 3년6개월 만의 첫 외빈 초청 외교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의 “미국의 강도적인 세계패권전략에 반기를 든 국가들과 연대를 가일층 강화하겠다”(6월16~18일 노동당 중앙위 8기8차 전원회의)는 방침에 따라, 전승절 행사를 계기로 중·러와 협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다.
주목할 대목은 중국은 “당·정 대표단”인데 러시아는 “군사대표단”으로 방문단의 형식이 다르다는 사실이다. 북-중 사이엔 다방면 협력, 북-러 사이에 군사 협력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뜻이다. 이런 차이엔 북-중-러 3국 사이에 상호 협력의 강조점이 다른 사정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추가 제재 결의를 러시아와 함께 가로막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론 “북한의 7차 핵실험 강행을 억제하고 있다”는 게 북-중 관계에 정통한 여러 소식통의 전언이다. 아울러 중국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찬성도 반대도 하지 않는 모호한 중립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반면 북한은 “로씨야 군대와 인민과 언제나 한전호에 서 있을 것”라는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부부장 담화(1월27일)를 포함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러시아 지지’ 태도를 밝혀왔다.
7월 북한 미사일 발사 일지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이와는 달리, 북한은 이달 들어 네 차례 미사일 발사와 7차례 비난 담화를 쏟아내며 한-미 양국을 향한 대결적 태도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 12일 김정은 총비서의 현지지도로 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 ‘화성포-18’형 2차 시험발사를 한 뒤 북한은 단거리 탄도미사일(19일)→순항미사일(22일)→단거리 탄도미사일(24일)을 잇달아 쐈다. 윤석열 대통령의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 참석, 한-미의 첫 핵협의그룹(NCG) 회의와 42년 만의 미국 전략핵잠수함(SSBN) 켄터키함 부산 기항, 미 핵추진잠수함(SSN) 아나폴리스함(SSN-760) 제주 해군기지 입항 등을 겨냥한 무력시위다. ‘김여정 담화’ 4회를 포함한 7건의 담화를 통해선 미국 정찰기와 전략핵잠수함을 겨냥해 각각 “격추”, “핵무기 사용 조건에 해당될 수 있다”는 식으로 공세적 군사 대응을 위협했다.
눈에 띄는 대목은 4차례의 미사일 발사와 7차례의 한·미 비난 담화 가운데 일반 인민한테도 알린 건 ‘화성포-18’형 발사 소식이 유일하다는 점이다. 나머지 3차례 미사일 발사는 공개 보도가 없었다. 7차례 담화는 대외용 매체인 ‘중통’에만 실렸다. 북한 당국이 안과 밖에 전하려는 ‘정치군사적 신호’를 달리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한편, 대통령실은 25일 새벽 안보상황점검회의를 열어 상황을 분석했다. 이날 한·미·일 북핵수석대표도 유선협의를 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