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통일부 장관(앞줄 가운데)이 15일 오후 서울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에서 열린 ‘6·15남북정상회담 22돌 기념식’에 참석해 축사를 하기에 앞서 국기에 대한 경레를 하고 있다. 권 앞줄 왼쪽부터 문희상 전 국회의장 겸 김대중정치학교 교장, 권영세 장관,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15일 “6·15공동선언을 비롯해 7·4공동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은 물론, 10·4선언과 판문점선언, 평양공동선언 등 기존의 합의들은 존중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영세 장관은 이날 서울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에서 열린 ‘6·15남북정상회담 22돌 기념식’에 참석해 한 축사에서 “기존의 성과를 토대로 삼지 않고는 더 크고 더 평화로운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며 이렇게 말했다. 권 장관은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은 역대 진보정권들이 보여줬던 유연한 자세, 역대 보수정권들이 지켜왔던 안정적인 태도, 이 모두를 아우르는 새로운 길을 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장관은 6·15 남북정상회담을 “단순히 정상 간 만남의 의미를 넘어서는 남북관계의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규정했다. 그러곤 “2000년 6월15일, 김대중 대통령님의 방북과 공동선언을 기점으로 남북은 비로소 ‘화해’와 ‘협력’이라는 새로운 남북관계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었다”고 짚었다.
이어 권 장관은 “대한민국의 통일부 장관으로서 언제라도 북한이 호응해오기만 한다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대화의 장으로 뛰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하루 속히 북한 당국이 도발을 멈추고 대화와 협력의 장으로 나오기를 강력하게 요청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한편, 북쪽의 조선직업총동맹(총) 중앙위원회는 이날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공동 주최한 ‘6·15공동선언 발표 22돌 기념 양대노총 통일위원회 공동토론회’에 보내온 ‘연대사’를 통해 “미국의 반공화국 적대시 정책과 반통일보수세력의 외세의존, 동족대결 광기를 제압하지 않고서는 북남선언들을 성과적으로 추진해나갈 수 없다”고 밝혔다. 직총은 “새로 집권한 남쪽의 보수세력은 역사의 심판을 받은 ‘주적’론과 ‘선제타격’을 떠들며 동족 대결로 질주하고 있다”며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을 겨냥했다. 북쪽의 연대사는 2019년 10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남쪽 민간의 요청에 응한 북쪽의 공식 회신이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