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한국판 뉴딜 사업을 통해 지역균형 발전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지역균형 뉴딜을 한국판 뉴딜의 새로운 기둥으로 삼아 국가발전 축을 지역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2차 한국판 뉴딜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열고 국가균형발전의 꿈을 이루기 위한 발걸음은 한순간도 멈출 수 없다”라며 “정부는 담대한 지역균형발전 구상을 갖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국가발전전략으로 한국판 뉴딜을 강력히 추진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기존 한국판 뉴딜의 3대 기둥인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사회안전망 뉴딜에 새롭게 지역균형 뉴딜을 넣겠다고 했다. 정부는 지역균형 뉴딜 분과를 신설해 행정안전부 장관이 주관하고, 각 광역 시도의 부단체장이 참석하는 시도뉴딜 추진단을 꾸리기로 했다.
문 대통령이 지역균형 뉴딜을 추가한 것은 160조원 규모의 한국형 뉴딜 사업 가운데 절반에 이르는 75조원가량이 지역에서 집행한다는 현실을 참작했기 때문이다. 또 정부가 100대 국정 과제로 추진해온 지역균형발전을 본격화한다는 의미도 담겼다. 문 대통령은 지난 7월 국무회의에서 “한국판 뉴딜은 정부가 추진해온 국가균형발전정책과 긴밀히 결합해 지역 발전 속도를 더욱 가속하면서 균형발전의 완성도를 높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역의 사정과 환경에 맞게 △스마트 스쿨 △스마트 그린 산단 △그린 리모델링 등을 추진하면 “지역경제의 활력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근 지자체끼리 초광역권으로 지역균형 뉴딜을 추진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과감한 지원책도 쏟아부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정부는 지역균형 뉴딜을 한국판 뉴딜의 성패를 걸고 강력히 추진하겠다”라며 “지역균형 뉴딜 사업에 적극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고, 제도 개선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명 경기지사와 김경수 경남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등 대선 주자들이 나란히 참석해 눈길을 모았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