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에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 전화 회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와 처음 통화하고 강제 동원 피해자 문제 등 양국 갈등을 풀기 위해 대화를 가속하자고 뜻을 모았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부터 20분 동안 스가 총리와 통화했다. 한-일 정상이 통화한 것은 스가 총리 취임 뒤 처음이다. 양국은 지난해 12월 중국 충칭에서 문 대통령과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가 정상회담을 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일본을 “가장 가까운 친구”라고 칭하며 양국이 갈등하는 현안과 코로나 극복을 위해 노력하자고 했다. 문 대통령은 스가 총리 취임을 축하한 뒤 “한국과 일본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가까운 친구이자 동북아와 세계 평화, 번영을 위해 함께 협력해가야 할 동반자”라며 양국이 코로나를 극복하기 위해 협력하자”고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스가 총리는 “양국 관계가 과거사에서 비롯한 여러 현안으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문 대통령과 함께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구축해 나가길 희망한다”라며 “일본도 코로나 극복이 최대 과제인데 한국은 문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케이(K) 방역의 성과를 거둔 만큼 여러 과제를 함께 해결해가자”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기업인 등 필수 인력의 특별입국 절차 합의를 앞둔 점을 평가하며 이를 양국 인적 교류 재개의 물꼬를 트고 관계 발전을 위한 계기로 삼자고 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강제 동원 피해자 문제를 푸는 데 양국이 더욱 적극적으로 소통하자고 했다. 그는 “입장차가 있는 게 사실이지만, 양국 정부와 모든 당사자가 수용할 수 있는 최적의 해법을 함께 찾아가길 바란다”라고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내년 도쿄 올림픽이 성공적으로 개최되길 바란다는 뜻도 전했다.
이에 스가 총리는 감사하다며 “일본인 납치자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에 감사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달라”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위해서 긴밀히 협력해 가기로 했다. 두 정상은 이날 통화에 대해 허심탄회하고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평했다.
이날 통화는 정상 취임 뒤 축하하는 쪽에서 먼저 요청하는 관례에 따라 한국 요청으로 이뤄졌다. 두 정상은 구체적인 양국 갈등 현안인 수출 규제 문제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문제에 관해서는 깊은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한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상 간 첫 상견례였다”라며 “관련 현안 이야기는 없었고, 소통 대화 노력을 가속화하자는 차원이었다”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