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전 청와대 본관 백악실에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왼쪽)을 접견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맬컴 턴불 오스트레일리아 총리 등과 연쇄 전화통화를 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대응 협조를 구하는 등 다자외교에 총력을 기울였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추가 결의안 표결(한국시각 12일 오전)과 유엔 총회(19일 개막) 참석을 앞두고 외교적 역량을 쏟은 것이다. 하지만 중국과 러시아 등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배치 문제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문 대통령의 이런 다자외교 노력이 빛을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문 대통령은 이날 마크롱 대통령, 턴불 총리와의 통화에 앞서 오전에는 청와대에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를 잇따라 접견하며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반 전 총장에게 “북한 핵실험 등 엄중한 외교·안보 상황 속에서 유엔 총회(19일 개막)에 참석할 예정인 만큼, 한반도 문제 및 글로벌 현안 해결 등에 있어서 의미있는 성과를 내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에 반 전 총장은 “유엔 총회 참석을 통해 많은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유엔 사무총장 재직 경험이 국익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문 대통령이 이처럼 다자외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대북 결의안 채택에 키를 쥐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는 사드 배치 이후 더욱 냉랭한 모습으로 돌아섰다. 특히 문 대통령은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시 주석과의 통화는 이뤄지기 어려울 것 같다. 중국의 19차 전대가 끝나기 전까진 당분간 중국과의 대화가 쉽진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