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9월5일 청와대 세종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 출입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은 8일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잔여 발사대 4기 배치를 전날 강행한 데 대해 “현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조치라고 판단했다”며 “이 점에 대해 국민 여러분의 양해를 구한다”고 밝혔다.
전날 밤 러시아 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문 대통령은 이날 밤 8시50분께 이런 내용을 담은 ‘사드 배치 관련 대통령 입장’을 서면으로 발표했다. 해외 순방 중 전격적으로 사드 1개 포대 배치를 완료한 데 대해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직접적인 입장 표명에 나선 것이다.
문 대통령은 입장문에서 “북한은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일치된 요구와 경고를 묵살한 채, 거듭된 탄도미사일 발사에 이어 6차 핵실험까지 감행했다”며 “한반도에서 전쟁을 막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사드 임시배치를 더이상 미룰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사드 배치에 대해 “미리 예고했던 바이기도 하다”며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갈수록 고도화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방어능력을 최대한 높여나가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은 “과거와 다르게 정부가 평화적인 집회 관리를 위해 최대한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시민과 경찰관의 부상을 대통령으로서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부상당하거나 정신적인 상처를 입은 분들의 조속한 쾌유를 빌며 적절한 위로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정부는 현지 주민들의 건강과 환경에 대한 우려를 존중한다”며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결과에 대한 공개적이고 과학적인 추가 검증을 요청한다면 언제든지 응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이번 사드 배치는 안보의 엄중함과 시급성을 감안한 임시배치”라고 강조하고, “최종배치 여부는 여러번 약속드린 바와 같이 보다 엄격한 일반 환경영향평가 후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사드 체계의 임시배치로 영향을 받게 된 지역 주민들의 불편과 우려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최선을 다하겠다”며 “성지가 잘 보존되기를 바라는 원불교 측의 희망에 대해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처한 안보 상황은 매우 엄중하다. 정부는 어떤 상황에서도 국민이 기대하는 정부의 책임을 다해나갈 것”이라며 “국민 여러분께서도 정부의 의지와 노력을 믿고 마음을 모아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오후 3시45분께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드 배치 강행에 대해 문 대통령이 직접 입장을 표명할 계획이 있느냐’는 물음에 “검토 중이지만 언제 나올지는 확실치 않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의 입장은 이로부터 5시간 만에 나왔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