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한겨레 자료사진
중 요청으로 북 4차 핵실험 뒤 처음
박대통령, 대북제재 협조 요청
시 주석 발언 내용은 공개 안해
박대통령, 대북제재 협조 요청
시 주석 발언 내용은 공개 안해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5일 밤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로켓 발사 예고와 관련한 전화통화를 했다. 시진핑 주석이 지난달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외국 정상과 통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통화는 중국 정부의 요청으로 이뤄졌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북한의 역대 핵실험 이후 한-중 정상이 의견을 나눈 것 역시 이번이 처음이어서, 중국 쪽의 ‘이례적’ 행보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양국 정상은 이날 통화에서 △북한의 4차 핵실험 및 장거리 로켓 발사 예고 대응방안 △한반도 정세 △한-중 관계 발전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청와대는 밝혔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도발은 한반도, 동북아와 세계 평화에 위협을 가하는 행위로서, 이번만큼은 북한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하고 실효적인 결의를 유엔 안보리에서 채택하는 등 국제사회의 단호한 메시지가 신속히 행동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자 북한에 대해 다양한 수단을 가진 중국 쪽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청와대는 이날 박 대통령의 발언만 공개했을 뿐, 통화를 요청해온 시 주석의 발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시 주석의 이번 통화는 북한이 핵실험에 이어 로켓 발사를 예고하고, 박근혜 대통령은 고강도 제재 및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적극 검토를 거론하면서 한반도 긴장이 가파르게 고조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중국은 한국 정부의 ‘고강도 대북 제재’ 동참 요구에 대해 △한반도 비핵화 실현 △한반도 평화와 안정 수호 △대화를 통한 평화적 해결 등 ‘한반도 비핵화 3원칙’을 강조하며, 제재 논의와 함께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을 요구해왔다.
시 주석은 이날 박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도 ‘강 대 강’으로 치닫는 한반도 정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선 대화를 통한 해결이 필요하다는 뜻을 전했을 것으로 보인다.
최혜정 기자 idun@hani.co.kr
이슈사드 배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