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로마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조우한 모습. 청와대 제공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종전선언’을 언급한 것을 두고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북한 리더십 차원에서 종전선언에 대한 관심을 대외적으로 표명한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3일(현지시각)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중 마지막 방문지인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은 여러 차례 종전선언에 관한 입장을 표명했다. 그중에 김정은 위원장이 대외적으로 종전선언에 대해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 산림복원, 한반도 종전선언 등에 대해 별도로 북한과 진행중인 사항이 있는지’ 질문을 받고 “종전선언을 포함한 대북 관여방안에 대해 (한미 양국이) 긴밀하게 협의를 해왔다”고 말하며 이같은 설명을 했다.
이 관계자가 말한 김정은 위원장의 발언은 지난 9월 최고인민회의에서 “종전을 선언하기에 앞서 서로에 대한 존중 보장”과 “이중적인 태도, 적대시 관점과 정책 철회”가 “불변한 요구”라며 “북남관계를 수습하고 앞으로 밝은 전도를 열어나가기 위해서도 선결돼야 할 중대과제”라고 언급한 것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당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에서 북한의 최고인민회의 개최 및 김정은 위원장 시정연설 등 관련 동향을 면밀히 검토하였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종전선언은 한국을 제외한 중요한 당사자가 미국과 북한이 될 것 같다”면서 “미국과 북한 간에 협의를 가질 수 있도록 한국에서 나름대로 역할을 계속해 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불안정한 정전체제를 공고하고 항구적인 평화체제로 바꿔 나간다면 한반도 평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것이 우리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고, 종전선언에 관한 한미 간의 문안이라든지 협상 전략이라든지 계속 협의한 기초 위에서 북한과 협상을 할 수 있는 여지를 찾아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헝가리·슬로바키아·체코·폴란드 등 비세그라드 그룹(V4) 정상회의 계기에 종전선언 등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다페스트/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