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8·15 광복절을 하루 앞두고 “위안부 문제의 해결이 불행한 과거를 되풀이하지 않는 일”이라며서 “할머니의 증언과 시민사회, 학계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역사적 진실의 토대 위에 용서와 화해의 미래가 꽃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영상메시지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고 김학순 할머니께서 피해 사실을 공개 증언한 지 30년이 되었다”며 “30년 전 ‘일본 군대 ‘위안부’로 강제로 끌려갔던 김학순입니다’ 이 한 문장의 진실이 세상에 나왔다”고 이날의 의미를 짚었다. 이어 “우리는 할머니들을 통해 결코 잊을 수 없는 역사를 성찰할 수 있었다”면서 “전쟁과 전후, 수많은 고난과 역경을 딛고 일어나 꺾이지 않는 인간의 존엄을 증명해주신 할머니들께 깊은 존경과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모든 할머니들이 살아계실때 한을 풀어드리지 못해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현재 정부에 등록된 240명의 피해자 할머니 가운데 생존한 이는 14명에 불과하다. 문 대통령은 “‘피해자 중심 문제 해결’이라는 국제사회의 원칙과 규범을 확고히 지키며, 한 분 한 분의 명예가 회복되고 마음의 상처가 아물 수 있도록 소통하고 지원하겠다”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할머니들의 명예를 회복하고 아픔을 치유하는 일은 한 사람의 광복을 이루는 것이며, ‘완전한 광복’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길”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에게 인권과 평화를 향한 희망과 용기, 연대와 포용이라는 위대한 유산을 물려준 할머니들께 경의를 표하며, 부디 오래도록 건강하게 우리 곁에 계셔 주시길 기원하다”고 영상 메시지를 맺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