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지난 3일 오전 서울시 종로구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가 지난해 7월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폭력 피해자에 대해 ‘피해를 호소하는 고소인’이라고 지칭한 것을 뒤늦게 사과했다. 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는 오는 6∼7일 이틀간 예정돼 있다.
김 후보자는 4일 ‘(박 전 시장) 피해자에게 사과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의 인사청문회 서면 질의를 받고 “피해자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피해자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지난해 7월 박 전 시장 사건이 발생한 뒤 페이스북에 “피해를 호소하는 고소인을 위해서라도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은 뒤로 빠지십시오. 정치권은 뒤로 물러나 결과가 나올 때까지 지켜봅시다”라고 적어 논란이 일었다.
김 후보자는 이어 “총리직을 맡게 된다면, 지난해 정부가 마련한 ‘공공부문 성희롱·성폭력 근절 대응체계 강화 방안’의 차질없는 추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피해호소인’이라고 지칭한 것에 대해서도 “피해자로 호칭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이 ‘한명숙 전 총리 불법 정치자금 수수에 대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입장’을 묻자 “후보자로서 법원의 판결을 존중한다”면서도 “최근 쟁점이 되는 것은 법원의 판단이 아니라 검찰의 수사과정에 관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면론이 불거진 것에 대해서는 “시기상조”라고 전제했으나 “총리로 임명되면 경제계와 시민단체, 정치권 등에서 여러 의견을 들어 대통령께 전달하겠다”고 했다. 그는 “(사면이) 국민통합과 경제회복에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많은 국민은 아직 공정과 정의를 생각하는 것 같다”며 “국민의 공감대가 없는 사면은 통합에도, 경제발전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입장을 냈다.
김 후보자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관련, 다주택자 투기 세력에 대해서는 세 부담을 강화하고 실수요자에 대해서는 지원과 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이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투기 수요 억제와 주택 공급 확대라는 큰 틀을 일관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서민 실수요자의 주거 안정을 위해 필요한 추가 지원방안은 없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무주택자를 위한 주택구입 지원 확대나 1주택을 보유한 고령·은퇴계층의 과도한 세 부담 완화 등은 검토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미나 장나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