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후보지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2주 연속 커지고, 매매수급지수도 상승했다. 사진은 25일 서울 63아트 전망대에서 본 여의도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부과 기준을 상향에 대한 찬반 여론이 팽팽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1주택자의 재산세 감면 기준 완화 방안에 대해서는 찬성 의견이 반대보다 두 배 넘게 많았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6일부터 28일까지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9일 발표한 4월 4주차 전국지표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44%는 종부세 부과 기준을 기존 9억원에서 12억원으로 상향하는 것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응답자의 45%로 찬반이 팽팽했다.
반면 1주택자의 재산세 감면 기준을 공시가격 6억원에서 9억원으로 완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응답률이 64%로, 공감하지 않는다(26%)는 의견을 압도했다. 재산세 감면 기준 완화로 수혜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 지역의 ‘공감한다’는 의견이 71%로 다른 지역(대구·경북 52%, 강원·제주 56%, 광주·전라 58%)보다 월등히 강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38%를 기록하며 전주보다 3%포인트 상승했다. 부정평가도 전주보다 3%포인트 하락해 56%를 기록했다. 문 대통령 지지율은 3월 둘째 주부터 긍·부정평가 격차가 꾸준히 벌어지는 추세였다가 이번에 반전됐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28%, 국민의힘 26%, 국민의당 6%, 정의당 6% 차례로 나타났다. 전직 대통령의 사면론과 관련해서는 ‘국민 정서를 고려할 때 시기상조라고 본다’는 응답이 52%로 ‘국민 통합 차원에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는 응답(41%)보다 11%포인트 높았다.
대선후보 적합도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24%,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23%로 양당 구도를 이어갔고,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가 7%,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홍준표 무소속 의원이 각각 4%, 정세균 전 총리가 3%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의 응답률은 26.8%며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