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1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4·7 보궐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서울동행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민의힘은 1일 코로나19 재확산 조짐을 보이자 정부의 백신 정책을 다시 문제 삼고 나섰다. 정부의 백신 구매 전략이 실패했다고 지적하며, 4·7 재보궐선거에서 정부 심판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4·7 보궐선거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서울동행 회의’를 열어 “코로나바이러스를 겪으면서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 것은 ‘우리가 얼마나 빨리 백신 접종을 끝내냐’는 문제”라며 “세계 유수 언론인 <월스트리트 저널>이 대한민국이 백신 접종을 늦춤으로써 경제적으로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나라가 될 것이라고 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어 “지난 1월에 대통령이 (미국 제약사) 노바백스 시이오(CEO)와 통화를 하며, 기술 원조를 받아서 올해 2월부터 국내에서 백신을 생산할 수 있다고 이야기했는데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됐다. 이 정부는 과연 무엇을 알고 이야기하는 건지 국민들이 납득하지 않는다”며 “(오는) 11월 말까지 전 국민 면역을 완료한다고 했는데 최근 백신 접종 상황을 보면 몇 년이 걸릴지 예측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또 “정부는 백신 정책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가지고 언제 어떻게 국민이 백신 접종을 할 수 있을 것인지 분명한 태도를 밝혀달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후 기자들과 만나서도 “정부가 전혀 예측 능력이 없어서 이런 상황을 초래한 것”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백신 생산량이 많지 않은데 서로 백신을 가지려고 하니까 공급이 원활히 될 수 없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자신의 접종 계획에 대해선 “신청해놨는데 모르겠다”고도 했다. 1940년생인 김 위원장은 만 80살이다. 정부는 이날부터 만 75살 이상 일반인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대상자는 총 350만8975명이며, 모두 화이자 백신을 맞는다.
최형두 국민의힘 원내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내어 “정부 여당은 백신 구매 전략실패를 인정하고 백신 확보에 국가 총력을 모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백신의 봄은 오지 않고 오히려 오이시디(OECD) 백신 접종 꼴찌가 됐다”면서, 4·7 재보궐선거에서 “국민들의 심판이 머지않았다”고 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