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열린 대한민국 우주전략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고흥/연합뉴스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지지율이 지난주에 이어 또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정수행 부정평가율은 역대 최고치다.
한국갤럽은 지난 23~25일 전국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3.1%포인트)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34%, 부정평가는 59%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긍정평가는 전주보다 3%포인트 하락하면서 지난주에 이어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부정평가도 4%포인트 상승하며 취임 후 최고치를 보였다. 부정평가 이유로는 ‘부동산 정책(34%)’이 3주째 30% 넘게 차지하고 있다. 갤럽 관계자는 “기존의 부동산 정책 불신에 겹친 한국토지주택공사(LH) 투기 의혹, 그리고 주택 공시가 현실화 여파의 결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오는 4월 7일 재보궐선거에 대한 민심은 정권 견제론에 쏠렸다.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답변이 57%로 집계됐고,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33%였다. 그동안 ‘4·7 재보궐 선거’와 관련된 다섯 차례 조사에서 정부 견제론에 대한 응답률은 이번 조사에서 최고치를 찍었다. 시장 보궐선거를 앞둔 서울에서는 ‘야당이 다수 당선돼야 한다'가 61%로 '여당 다수 당선'(31%)보다 우세했다. 부산·울산·경남도 ‘야당 다수 당선’이 60%, ‘여당 다수 당선’이 25%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도층 성향에서도 ‘야당이 다수 당선돼야 한다’가 67%로 높게 나타났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32%, 국민의힘 29%, 국민의당 5%인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은 3%포인트 하락하면서 지지율 최저치를 기록했고, 국민의힘은 3%포인트 상승하면서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 정부 출범 후 양당의 지지율 격차도 가장 적었다.
정당 지지율은 특히 중도층에서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중도층이 지지하는 정당 구도는 지난주 민주당 40%, 국민의힘 21%에서 이번 주엔 민주당 26%. 국민의힘 29%로 변화했다. 갤럽 관계자는 “이번 주 초 야권 후보 단일화, 공식 선거운동 돌입 등 임박한 4·7 재보궐선거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전화조사원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6%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이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연서 기자
lovelett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