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경기도 용인시 흥덕우리요양병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26일 시작된 가운데 ‘접종 의향이 있다’는 의견이 국민 10명 중 7명을 넘어선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드시 접종받겠다’는 응답도 지난주 조사보다 5%포인트 상승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23∼25일 전국 성인 1004명에게 백신 접종 의향을 물은 결과 접종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71%였다고 이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반드시 접종받겠다’는 응답이 48%, ‘아마 접종받을 것’이 23%였다. ‘아마 접종받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비율은 14%, ’절대 접종받지 않겠다’는 5%로 나타났다. 지난주 조사와 비교해 ‘반드시 접종받겠다’는 응답은 43%에서 48%로 증가했다.
연령별로 보면 ‘접종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40대 이상 집단부터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대·30대에선 60%였던 반면, 40대에선 73%, 50대에선 77%, 60대 이상에선 78%였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고령자 층에서 치명률이 높다는 특성에 따라, 접종을 하겠다는 의향도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갤럽 누리집 갈무리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한국갤럽은 백신 개발사의 신뢰도도 함께 물었다. ‘매우 신뢰한다’와 ‘어느 정도 신뢰한다’는 응답은 화이자가 62%, 모더나가 53%, 아스트라제네카가 44%였다. 특히 아스트라제네카사 백신에 대해서는 정치 성향별로 입장 차이가 두드러졌다. 진보층 성향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신뢰도가 60%였던 반면, 중도·보수층에서는 39%였다. 대통령 직무 평가별 차이로 볼 때도 ‘긍정 평가’를 한 사람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신뢰도는 65%였지만, ‘부정 평가’ 집단에선 32%에 그쳤다.
백신 접종에 적극적인 응답자의 개발사별 백신 신뢰도는 화이자 75%, 모더나·아스트라제네카가 각각 65%였다. ‘아마 접종받을 것’이라고 답한 소극적 응답자 경우엔 백신 신뢰도가 화이자 66%, 모더나 55%, 아스트라제네카 40%였다. 한국갤럽은 이를 근거로 백신 접종 소극적 의향자는 자신의 접종 순서가 돌아오더라도 백신 종류에 따라 접종을 꺼릴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해석했다. 이번 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