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BAR_장나래의 국회TMI

그래픽_박민지


부산 중견건설사 회장인 부친의 ‘일감 몰아주기’ 등 편법 증여로 거액의 재산을 형성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국민의힘 전봉민 의원이 지난 22일 국회 소통관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취재 기자에게 저희 아버님께서 부적절한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해 국민 여러분과 당원 여러분께 깊은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하지만 ‘일감 몰아주기’ 등을 통한 편법 증여 의혹 등에 대해서는 “관련 의혹은 정상적 절차와 규정에 따라 답하겠다”며 대답을 회피했습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에도 취재진이 자리를 뜨려는 전 의원을 뒤따라가며 의혹에 대한 구체적 해명을 요구했지만 “별도로 들을 시간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는 말만 남겼습니다. 사라진 전 의원과 함께 이날 당 지도부가 약속했던 진상조사는 시작도 못 해보고 끝이 났습니다. 원내지도부의 한 관계자는 “전 의원을 당무감사위원회에 회부해 감사 절차를 진행하려고 했는데, 탈당해 절차가 중단됐다. 탈당하면 감사할 권한 자체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박덕흠 의원이 지난 9월23일 국회 소통관에서 국민의힘을 탈당하는 기자회견을 하기 전 인사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제2의 박덕흠’만은 막아야 한다”특히 이번에는 초반부터 당 내부에서 “‘제2의 박덕흠’만은 막아야 한다”는 의견이 거셌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당장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막말 프레임’을 부각하며 당이 총공세를 하는 상황에서 ‘아빠찬스’라는 악재가 터져 대여 공세의 동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컸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진상 조사하겠다고 말은 했지만, 사실 우리가 수사 권한도 없는데 어디까지 조사가 가능할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다”며 “당이 더 곤란해지기 전에 전 의원이 탈당을 결단해줬다”고 했습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등 정치권에서 일제히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신영대 민주당 대변인은 “박덕흠 의원에 이은 두 번째 ‘면피용 꼬리 자르기’다. 국민의힘은 침묵으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국민 앞에 사죄하고, 당 차원의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민주당도 이런 지적에서 결코 자유로울 순 없습니다. 지난 9월 이스타항공 대량 해고 사태 등이 불거졌던 이상직 의원도 당의 진상조사를 받던 중 탈당을 한 바 있습니다. 그래서 여든 야든 소속을 떠나 국회 차원에서 의혹에 대해 철저히 규명하고,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받고 있습니다. 국회에는 국회의원을 징계할 수 있는 윤리특별위원회가 있습니다. 하지만 21대 국회 들어 위원장 선출을 위한 첫 회의만 열었을 뿐 징계 논의는 한 차례도 없었습니다. 지난 20대 국회에서도 4년 동안 단 한 건의 징계도 이뤄지지 않았지요. 윤리특위까지 ‘잠자는 상임위’에 머무는 한, 탈당이라는 ‘꼼수정치’도 되풀이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 ▶바로가기 : ‘편법 증여’ 보도 무마 3천만원 제공 의혹, 전봉민 국민의힘 의원 탈당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75399.html ▶바로가기 : [사설] 기자에게 “3천 줄게”, ‘전봉민 의원 부자’ 의혹 규명해야 https://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975264.html ▶바로가기 : 박덕흠, 징계·진상조사도 없이 탈당…여당 “위기 모면용” https://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963416.html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